아동·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와 지역사회인식 간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Analysis of the Autoregressive Cross Lagged Effect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Community Percep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18권 18호
-
2018.09459 - 476 (18 pages)
-
DOI : 10.22251/jlcci.2018.18.18.459
- 284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와 지역사회인식 간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2010년부터 2016년까지 7년 간 수집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Youth Panel Study) 의 자료 중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삶의 만족도와 지역사회인식자료를 활용하였고, Mplus 7.0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첫째, 이전 시점의 삶의 만족도는 이후 시점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회귀효과가 있었다. 둘째, 이전 시점의 지역사회인식은 이후 시점의 지역사회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역시 자기회귀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이전 시점의 삶의 만족도는 이후 시점의 지역사회인식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전 시점의 지역사회인식은 이후시점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교차지연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아동·청소년 교육에 관한 시사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utoregressive cross lagged effect between the life satisfaction and the community percep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for 7 years were used in the Korean Children Youth Panel Study cond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The autoregressive cross lagged model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community percep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ife satisfaction at the previous tim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at the later time, so the autoregressive cross lagged effect was confirmed. Second, community perception at the previous time was found to influence community perception at a later time, which also confirmed the autoregressive cross lagged effect. Third, the life satisfaction at the previous time was found to affect the community perception at the later time. Also, the community perception at the previous time influenced the life satisfaction at the later time, and the autoregressive cross lagged effect was confirmed. Based on this results, the suggestions and discussions on educ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provided.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