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비판의식이 보태진 담론연구방법의 출현 배경과 지적 토대를 탐색하고 질적연구 분야에 어떻게 기여하고 어떤 한계점을 갖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비판적 담론연구를 위해 실증적 자료를 기획하고 수집하고 분석하는 연구방법 역시 학자군마다 다소 차이가 크기 때문에 본 연구는 알튀세(Althusser)의 이데올로기, 그람시(Gramsci)의 헤게모니. 푸코(Foucault)의 권력/담론/지식, 홀(Hall)의 문화연구로부터 구축된 구조주의와 언어학적 전환(linguistic turn)의 지식전통과 바흐친(Bakhtin), 폐슈(Pêcheux), 할러데이(Halliday)를 포함한 비판적 언어학(critical linguistics) 연구전통으로부터 페어클러프(Fairclough)의 담론연구 모형이 어떻게 출현할 수 있었는지 우선적으로 탐색하기로 한다. 페어클러프의 모형은 할러데이의 체계기능문법(systemic functional grammar)으로부터 차용된 텍스트 분석방법, 바흐친의 얽힌 텍스트의 해석, 사회구조 분석에 용이한 푸코의 고고학/계보학 이론, 그람시의 헤게모니적 투쟁논점을 모두 결합시키면서 미시적 분석과 거시적 분석의 상호 간 단점을 보완했다. 본 연구는 비판적 담론분석의 연구방법적 의미와 함께 한계점 역시 부연하고 추후 연구자들이 숙지해야 할 점을 정리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resources to understand how CDS (Critical Discourse Studies) has been emerged as a research methodology. In this review of literature, the theoretical foundations will first be discussed on the tradition of linguistic turn and structuralistic movement, including Althusser’s ideology, Foucault’s power and discourse, Gramsci’s hegemony, Hall’s cultural study, as well as the tradition of critical linguistics including Halliday’s systematic functional grammar, and Bakhtin’s intertextuality. CDS clearly intends to incorporate social theories into discourse analysis and advocates social commitment and interventionism in researches. The main features and domains of CDS are discussed in this paper, with emphasis on the theory formation (how texts and discourses work in ideological interests with powerful political consequences) by one of CDS’s most prominent scholars, Norman Fairclough. Th e strengths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the Fairclough’s model-based research are also discussed. In the conclusion, the article makes some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s of CDS methodological development.
요약
Ⅰ. 서론
Ⅱ. 담론연구의 이론적 토대
Ⅲ. 비판적 담론연구방법의 이해: 페어클러프 모형을 중심으로
Ⅳ. 비판적 담론연구의 한계점과 학술적 쟁점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