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중간아이로 살아온 음악치료사가 자신의 삶을 수용하고 깊이 있게 성찰하는 경험을 통하여 음악치료사로서 직업적 발달과 치료사로서의 전문성을 성찰하는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중간아이이자 음악치료사로서 연구자의 직업적 발달과정을 자문화기술지의 연구방법을 통하여 분석하고 기술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가 중간아이로 살아오면서 경험한 어려움은 한국의 가족문화 중 남아 선호사상과 연관되어 있었다. 더불어 연구자는 남아선호사상의 영향으로 가려진 존재감을 드러내기 위해 착하게 행동하면서 부모화를 경험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구자는 음악치료사 훈련과정에서 거짓자기를 인식하고 참 자기(Self)를 형성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음악치료사로서 전문적인 성장을 할 수 있었으며 한국의 가족문화에 대한 깊은 탐색이 내담자에게도 이루어져야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는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개인이 사회문화적 배경에 대한 깊은 이해와 자기 성찰을 통해 음악치료사로서 발달해나가는 구체적이고 생생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expertise of a music therapist who was growing up as a middle child, with the experiences of accepting her life and reflecting upon it. To that end, the researcher who is in training to become a music therapist and was growing up as a middle child, conducted an analysis on 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cess and described the fi ndings, using an auto-ethnography method. First, the researcher looked into the diffi culties she experienced as a middle child, including the eff orts she made to be loved in a society with clear preference for sons. The difficulty the researcher experienced in justifying her existence amid the strong preference for sons drove her to become preoccupied with being well-behaved and experience parentifi cation in the process. Second, during the music therapist training course, the researcher was able to recognize the false self she had established and develop the true self. Th rough this development process, the researcher was able to grow her professional capabilities as a music therapist and realize that an in-depth review of Korean family culture was needed to help clients truly understand the diffi culties they experienced. Th 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specifi c real-life information on how an individual grows into a music therapist, based on deep understanding of their own socio-cultural backgrounds and self-refl 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