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4279.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구려 송죽리벽화분 연구

A Study of Songjukri Mural Tomb of Koguryo

  • 90

연탄 송죽리벽화분은 생활풍속을 벽화 주제로 삼은 5세기 중엽 편년 유적이다. 연탄은 안악문화권의 북쪽 경계지역으로 평양문화권과 맞닿는 곳이다. 그럼에도 평양생활권에 속한 곳은 아니다. 송죽리벽화분은 무덤 구조와 벽화 구성에서 지리적, 문화적 경계지대의 문화 양상을 잘 드러낸다. 송죽리벽화분은 앞방이 장방형인 두방무덤으로 무덤 구조상 평양 및 남포 일원의 두방무덤과통한다. 평양과남포일대5세기중엽및후반편년두방무덤벽화분의벽화주제는생활풍속 및 사신이다. 그러나 송죽리벽화분은 벽화 주제가 생활풍속이라는 점에서 이런 흐름과거리를보인다. 오히려5세기 후반에도 생활풍속이라는벽화주제를고집하던 안악지역외방무덤 벽화분과 가깝다. 송죽리벽화분의 사냥도는 위아래 3단으로 나뉜 화면에 그려졌다. 사냥도에 등장하는 기마사냥꾼들은 모두 머리에 절풍을 썼다. 5세기 평양권고분벽화 사냥도의 기마사냥꾼들은머리에흑건을쓰고등장한다. 5세기안악지역고분벽화에는사냥장면이묘사되지않는다. 송죽리벽화분 사냥도 등장인물의 복식과 사냥 장면 묘사에 보이는 활력과 긴박감은 집안 국내성지역 고분벽화 사냥도를 연상시킨다. 송죽리벽화분의 말잡이 시동은 얼굴 표정까지 읽을 수 있을 정도로 섬세하고 유려한 필선으로 묘사되었다. 수산리벽화분과 악2호분 벽화 등장인물의 얼굴 표현에도 송죽리벽화분의것과거의동일한필선이사용되었다. 세고분에서확인되는화가의세련된필선은인물묘사에익숙한공방이나가문이고구려사회에존재했음을시사한다. 생활풍속을벽화의주제이자 중심제재로삼는지역문화에서무덤주인을포함한인물묘사는중요시될수밖에없다. 생활풍속은 계세적 내세관을 전제로 한 벽화 주제이기 때문이다. 송죽리벽화분은 평양 천도 이후, 평양을 중심으로 추진된 고구려 문화의 통합과 재창조과정에 대동강 및 재령강 일대의 지역문화가 어떻게 바뀌어 나가는지, 지역문화 경계지대의 문화 양상은 어떠한지를 알게 하는 유적이다.

Songjukri Mural Tomb at Yeontan is a mid-5th century site with murals depicting everyday life and customs. Yeontan is at the northern edge of Anak(安岳) culture and borders upon Pyeongyang(平壤) culture. At the same time, it does not fully belong to the Pyeongyang region. Songjukri Mural Tomb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 that was at the cultural and geographic margins in its structure and mural composition. A two-chamber tomb with a rectangular antechamber, Songjukri Mural Tomb relates to two-chamber tombs of Pyeongyang and Nampo regions. The overarching theme of the mid and late 5th century two-chamber tomb of Pyeongyang and Nampo region is life customs and the Four Deities. However, Songjukri Mural Tomb distances itself from such trend in its theme of life customs. This is more in line with the single-chamber mural tombs of Anak region that adhered to life custom themed murals even in the late 5th century. The hunting scene in the Songjukri Mural Tomb was painted in three separate horizontal sections on the surface. All horsemen in the scene wear jeolpung(折風). The horsemen in the 5th century Pyeongyang region murals appear with heukgun (black head cloth, 黑巾) while the tomb murals of Anak region during the same period rarely depict a hunting scene. The clothes of the figures and the vivacity of the hunting scene in the Songjukri Mural Tomb are reminiscent of hunting scenes in Guknaeseong(國內城) region of Jian, China. The artists of the Songjukri Mural Tomb used detailed and sophisticated brush strokes to make even the page boy’s facial expression discernible. Similar brush strokes could also be found in the faces of Susanri Mural Tomb and Anak Tomb No.2. The experienced brush work of the artists found in the three mural tombs suggest that a certain school of art focused on and experienced in painting human figures existed in Koguryo society. In the regional culture that chose life customs as the subject and the theme of murals, figure painting including the portraiture of the deceased was prioritized since life customs is a mural theme based on afterlife as an extension of current life. Songjukri Mural Tomb in addition to representing the culture of the regional border also shows how the regional culture of Daedong River and Jaeryoung River changed after Pyeongyang became the new capital and Koguryo led a Pyeongyang-centered cultural unification and renewal.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유적 개요

Ⅲ. 무덤구조와 벽화 분석

Ⅳ. 5세기 평양·안악문화와 송죽리벽화분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