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4279.jpg
KCI등재 학술저널

현행 중학교 역사 교과서와 역사 부도의 삼국시대 지도 검토

A Study on the Maps of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Textbooks and Historical Atlas used in the Middle School

  • 369

4세기 백제의 세력범위와 대외활동 지도에서는 근초고왕대 마한 잔여세력의 복속 표시문제, 백제의 요서 진출과 대외교류 문제, 耽羅의 백제 복속 표시 문제를 검토하였다. 모든 교과서와 역사 부도에서 백제가 근초고왕대 마한의 남은 세력을 정복해 전라도 지역을 차지했다고 서술하며 이를 지도에 표시하였다. 그러나 최근 학계의 연구동향과 고고자료의 출토 양상을 고려할 때 백제 영역 확장사를 계기적으로 볼 수 있도록 유연한 서술을 할 필요가 있다. 백제의 요서 진출은 집필기준 때문에 학계에 논란이 있다는 점을 부연 설명했지만, 실제로는 학생들이 역사적 사실로 인식하게끔 본문 내용과 지도상에 표시되어 있다. 하지만 백제의요서진출을인정하는최근연구성과는드물고그나마도근초고왕대가아닌385년이라 는 제한된 시기로 보고 있다. 향후 개정 교과서와 역사 부도에서는 오해가 내포된 지도는 삭제하고, 간단한보충설명정도로서술하는것이타당하다. 한편탐라를백제와같은색깔로 칠해 놓아 마치 탐라가 4세기대 백제에 복속된 듯한 오해를 주고 있다. 실제 이를 표기한 지도도 있었는데, 탐라는 삼국시대에 독립국이었으므로 별도의 색깔로 구별해주어야 한다. 5세기 고구려 전성기의 영토확장지도에서는 장수왕대남방진출경계선의 문제와, 5세기 고구려의북방진출경계선및요동지역고구려성의표기문제를살펴보았다. 다수의교과서와 역사 부도에서 고구려의 동남방 진출 경계선을 아산만에서 경주 북쪽 인근의 영덕까지 그려놓았다. 그러나 이는 사료해석의오류에서초래된것으로, 실제로 당시고구려와신라의 국경선은 소백산맥 이북과 강릉 이북을 연결하는 선으로 표시해야 한다. 북방 진출의 경우도 일부 교과서와 역사 부도의 경우 북부여 방면의 부여성이 고구려 영역 안에 포함되도록 수정해야할것이다. 또한고구려성의축조시기를고려하지않고7세기대에축조된오골성과안시성 등을 5세기 지도에 표시하였다. 좀 더 세심한 고증이 필요하다. 6세기 신라의 영토 확장 지도에서는 진흥왕대 동북방 진출의 범위와 영역 표시, 그리고 순수경로문제를고찰하였다. 진흥왕은568년에함흥평야일대에까지순수를단행한후 황초령비 와 마운령비 를세웠다. 그러나진흥왕은순수를마친직후함흥일대의지리적인조건이 고구려의 반격에 취약함을 알고 최전방 군사기지를 비열홀주[안변]에서 달홀주[강원도 고성]로후퇴하였다. 여기에최근 학계의연구를 감안해일부교과서와 부도가안변 이북지역을 ‘진흥왕 때 진출했다가 상실한 영토’로 구별해 표시하였다. 아직 이를 반영하지 않은 지도는 수정이필요하다. 그리고대다수의교과서와역사부도에서568년진흥왕의동북방순수경로 를 동해안일변도로표시하였다. 그러나 북한산비 의 건립연대가 황초령비 · 마운령비 와 같은 568년임이 유력한 상황이므로 재검토할 필요가있다. 북한산에서 추가령이나 철령경로를 경유한 내륙으로의 순수가 좀 더 유력하다.

This research paper reviews the current school Textbooks and Historical Atlas used in the Middle School which was released in the 2011 revised curriculum focusing on the Maps of Three Kingdom Period. First, It has reviewed that Maps of Sphere of influence and external activities in Baekje Period. It had a problem with Subjection of Mahan(馬韓) in King Gunchogo(r. 346~375). Also The description of Textbooks and Historical Atlas on BaekJae s advance in Yosoe(遼西) area was exaggerated. Meanwhile, Tamna(耽羅: Jeju-do) is misunderstood by Baekje s subjugated in 4th century. But Tamna was an independent kingdom in period of Three Kingdoms. It has to paint the Map differently on BaekJae. Second, It has reviewed that Maps of territorial expansion in The golden age of Goguryeo. Goguryeo s southward advance in the reign of King Jangsu(r. 413~491) was imprecised east sea coast line. The time of construction of mountain city-sites of Goguryeo on the Liaoning peninsula have to mark accurately. Third, It has reviewed that Maps of territorial expansion in 6th century of silla. In 568.8, King Jinheung(r. 540~576) patrolled the Hwangchoryeong and Mounryeongin Hamgyeongnamdo. He erected Steles at there. It was called Hwangchoryeong Silla Jinheungwang sunsubi Mounryeong Silla Jinheungwang sunsubi . King Jinheung went throuth Chugaryeong route at there. After the patrol in 568.10, King Jinheung abolished Biyeolheulju. Instead, He established Dalhoju[Goseong-gun in Gangwon-do]. Because Hamheung reigion was indefensable area. This point should be reflected in the Textbooks and historical atlas.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4세기 백제의 세력범위와 대외활동 지도

Ⅲ. 5세기 고구려 전성기의 영토 확장 지도

Ⅳ. 6세기 신라의 영토 확장 지도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