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론기≸의 2종 판본 중 신수대장경에 수록된 판본에 따르면 ‘新羅○法師’의 형식 으로 나오는 신라출신 불교학자는 총 8인이지만, 금장(金藏)에 수록된 판본에는 앞의 8 인 중 ‘국법사(國法師)’가 나오지 않으므로 총 7인이 된다. 2종 판본을 비교해보면 이런 혼란은 신라인법사(新羅因法師)와 신라국법사(新羅國法師)에게서 발생한다. 이들의 인용횟수는 총3회로서, 그 빈도수는 낮은 편이지만, 그간 잊혔던 신라 출신의 불교학자의 정체를 해명하는 데 있어서는 매우 중요한 단서가 된다. 먼저 기존의 연구 성과와 목록 등을 검토해보면, 현재로서는 신라출신의 불교학자 가운데 국법사는 발견되지 않고, 금장본에서도 국법사가 나오지 않는다. 다만 추가로 발견한 ‘인법사’의 ≷무량수경≸ 주석 5곳, ≷성유식론≸ 주석 1곳이 본고에서 다루는 신라인법사의 주석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유가론기≸ 2종 판본에 나오는 인법사와 국법사의 2인이 실제로는 인법사 1인일 수도 있다는 가정 아래 주석 내용 3회를 전면적으로 검토해보았다. 그 결과 다음의 몇 가지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유가론≸에 나오는 총3회의 주석은 모두 ≷유 가론≸ 본문에 대한 직접적 주석이라기보다는 논쟁이 되는 주제에 대한 참고할만한 해석으로 인용되고 있다. 둘째 ≷유가론기≸에서 하나의 쟁점으로 다뤄지던 보살의 2종류, 즉 ‘일생소계(一生所繫)’와 ‘주최후유(住最後有)’에 대한 주석이 일관되게 등장하는 것을볼 때 이를 제기한 인물이 신수본의 국법사가 아니라 금장본에 나온 인법사 1인일 가능 성이 크다. 셋째 둔륜이 인법사의 주석을 인용하는 방식을 보면, 그가 기존의 ≷유가론≸ 의 주석서들뿐만 아니라 여러 유식학자들의 다양한 저술 가운데서 ≷유가론≸과 관련된 의미 있는 진술들을 모두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인법사의 활동 시기 등을 추정해 보면, 원측, 규기보다는 후대에 활동했고, 둔륜이 ≷유가론기≸를 작성하던 705년 이전에 저술을 남긴 신라 출신 유식학자였다고 볼 수 있다.
Among the two different prints of Yugaron-gi ( 瑜伽論記 Commentaries on the Yogacārabhūmi-śāstra), the print included in the Taishō shinshū daizōkyō ( 大正新 修大藏經 ), shows total of 8 Buddhist scholars referred as “Shilla○beopsa ( 新羅 ○ 法 師 )” but the print included in Jin Tripitaka ( 金藏 ) excludes the “Gukbeopsa ( 國法 師 )” from the 8 scholars, making it total of 7. When comparing the two prints, this confusion comes from Shillainbeopsa ( 新羅因法師 ) and Shillagukbeopsa ( 新羅國法 師 ). They are quoted 3 times in total, which is not frequent, but they are critical evidence in identifying the identities of unsung Buddhist scholars of Shilla. In research from existing studies, Gukbeopsa is not found among Buddhist scholars from Shilla, and even in the Jin Tripitakabon print. With the assumption that one scholar is quoted as both Gukbeopsa and Inbeopsa in the two prints of Yugaron-gi, this study reviewed the 3 annotates and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ll 3 annotates made from Yugaron-gi are not direct annotates of the paragraphs of Yogācārabhūmi-śāstra ( 瑜伽師地論 ) but are quoted as interpretations which supports the agenda being discussed. Second, annotates on the two kinds of Bodhisattvas, Bodhisattva bound to a single life ( 一生所繫 ) and Bodhisattva in his final lifetime ( 住最後有 ), which are discussed in the Yugaron-gi, are identical, raising the possibility that the scholar who presented them is not Gukbeopsa from the Taishō shinshū daizōkyō, but is Inbeopsa from the Jin Tripitaka. Third, considering how Dunryun ( 遁倫 ) quotes annotates of Inbeopsa, it appears that he has referred to various statements from annotates of Yogācārabhūmi-śāstra as well as from records related to Yogācārabhūmi-śāstra. Furthermore, considering the period of Inbeopsa, he was an active scholar during the Shilla period, who had been engaged in writings during the period later than Woncheok ( 圓測 ) and Kuiji ( 窺基 ), and had wrote records prior to year 705 when Dunryun wrote Yugaron-gi.
I. 들어가며
II. 판본 대조 및 기존 연구에 대한 재검토
III. ≷유가론기≸에 인용된 신라인법사 (=국법사)의 주석 내용 분석
IV.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