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에서 인간 삶을 풍성하게 하는 소통의 도구이자 강력한 사회자본의 가치를 창출하는 과학기술로서 SNS는 바쁜 일상 속에서 서로 생활을 공유하며 따뜻한 인간관계를 가지고 사회적 약자의 의견에 힘을 실어주는 집단지성을 실현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고도의 IT 기술의 발달로 인한 SNS 사용이 증가할수록 개인적・사회적・병리적・경제적 차원의 다양한 역기능을 낳고 있어 이에 대한 문제점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SNS 사용이 인간의 삶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과 더불어, 미디어를 통한 소통이 미치는 문제에 대한 비판적 요소를 사회학적으로 분석하며, 일상의 예술화라는 측면에서 SNS의 예술적 요소를 탐색하여 SNS의 순기능을 강화하고 역기능을 해소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 인문・사회・예술 융합교육 개발 방향을 모색한다. 이를 기반으로 미술교육의 최근 패러다임의 인문학적 접근과 시각문화교육의 융합적 특성을 살려 SNS와 같은 첨단 소통 과학기술의 고도화된 발달에 따른 문제점에 대비하도록 하는 교육 콘텐츠 개발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 콘텐츠는 SNS 사용이 갈수록 증가하면서 일어날 역기능을 해소하기 위한 교육적 해결 방안으로 시각문화연구와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을 병행하는 미술교육이 큰 기여를 할 수 있음을 역설한다.
The advent of social media, such as social networking service(SNS) due to the development of advanced technologies creates strong social capital values as it acts as a tool of communication that enriches human life. This technical characteristic not only contains individualʼs unique identity, professionalism and emotion but many humanitarian aspects that show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communication and consensus. This technology contains many artistic features as visual media which play important roles in realizing collective intelligence. This empowers the opinions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also helps people to have warm relationships in busy everyday life by sharing each otherʼs daily lives. On the other hand, as the usage of SNS increases with the development of advanced IT technology, various dysfunctions in terms of individual, social, economic, pathological aspects are also increasing. This study provides future-oriented humanities-social-arts convergence education development directions for the next generation in order to prepare for the solutions that can enhance the valuable function and reverse the dysfunction. The convergence education can be successfully practiced by coming up with art education contents based on visual culture studies and media literacy.
Ⅰ. 서론
Ⅱ. SNS의 인문・사회・예술적 요소 탐색
Ⅲ. SNS의 활용가치와 역기능에 따른 교육적 해결방안
Ⅳ. SNS의 순기능 강화와 역기능 해소를 위한 융합 미술교육 콘텐츠 개발 방향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