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4330.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옥마을 도시조직 디자인의 형성과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urban tissue Design of Han-ok village

  • 178

북촌의 도시조직을 분석하는 것은 현재의 공간구조를 형성할 수 있었던 원인을 찾는 하나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특별히 가회동 33번지와 같은 경사지형은 평지와 달리 수직적인 공간구조가 더해지면서 필지가 분화되는 원리와 건 축물이 배치되고 건물로의 진입을 결정하는 다양한 변수를 갖게 된다. 가회동 33번지의 도시조직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필지가 분화되었던 과정을 찾고 도시한옥 주거지로 개발하면서 주택업자의 개발과정을 추론하였다. 경사지의 특성에 따라 가로의 유형을 분류하고 필지가 분할되는 원인을 통해서 건축물의 배치와 진입부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경사지의 도시조직의 특수성은 가로의 형성 과정과 필지의 분할, 그리고 도시한옥으로의 진입을 결정하는 주요한 근 거로 삼았다. 가로의 유형은 주거로의 진입유형에 따라 세 개로 분류하였다. 필지의 분할은 가로의 경사도에 순응하 고 있으며 건축물의 진입과 배치는 가로의 향과 방향에 따라 유형화 할 수 있었다. 필지 규모와 형태가 다양하게 나 타나는 원인은 경사지에 순응하면서 나타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Analyzing the urban tissue of Bukchon is a process of finding out why the current spatial structure could have been formed. The slope, especially 33 Gahoedong unlike a flat land, is based on the vertical spatial structure, and have the various variables that determine layout and the entrance into the building.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rban tissue at 33 Gahodo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housing business was inferred by looking for the process by which the lot was divided and developing it as a residential area for the city house. The types of street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lopes and the properties of the layout and entry of buildings were examined through the causes of the splitting of the plots. The special nature of the urban tissue on the slopes was used as the main ground for determining the formation of streets, the division of plots, and the entry into Dosihanok. The types of street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entry into the dwelling. The division of the plots was adapted to the gradient of the street, and the entrance and placement of buildings could be shaped according to the directio and direction of the street. The reason why the size and shape of the plots vary is the result of adapting to the slopes.

1.서론

1-1. 연구 목적 및 방법

2. 가회동 33번지의 개발과정

2-1. 1929년까지 필지의 분화

2-2. 도시한옥 주거지의 개발

2-3. 가회동 33번지의 지형적 조건

3. 가회동 33번지 가로유형과 형성요인

3-1. 가로의 유형 분석

3-2. 기존 건물 영향

3-3. 지형적 요인

4. 경사지형의 필지 분할과 배치 원리

4-1. 필지의 분할 방법

4-2. 진입과 배치 유형

5.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