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4330.jpg
KCI등재 학술저널

산업유산의 재생을 통한 디자인문화공간 활성화 연구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design culture space through the regeneration of industrial heritage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overseas case and domestic case

  • 134

1990년대 이후 서구의 도시에서는 근대 산업유산시설을 재생하여 새로운 디자인문화공간으로 조성하 사례들이 늘 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최근 국내에서도 산업유산의 재생사업에 대한 논의가 비교적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것 에 착안하여 해외 사례와 국내 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디자인문화공간 활성화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한 결과 해외 사례의 경우에는 이미 30년 전부터 시민들의 자발적 필요성에 따라 정부와 시민들이 함께 장기 비전을 가지고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국내 사례의 경우에는 재생사업의 역사가 짧아서 정부주도에 의한 물리적 재생 및 지역명소 창출이라는 측면만 부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과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속가 능한 형태의 재생건축 모델 개발, 컨텐츠가 있는 공간의 개발, 젠트리피케이션 방지를 위한 제도 마련 등의방안이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며, 추후로의 산업유산 재생은 사회 전체 구성원이 필요로 하는 삶의 터전으로 조성해가는 마 스터플랜이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Since the 1990s, there have been an increasing number of cases in western cities where modern industrial heritage􀀁 facilities are recreated to for a new design and culture space. Based on the relatively active discussion of industrial asset regeneration projects in Korea, this study was designe to draw up measures to revitalize the design culture space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of overseas cases and domestic cases. In case of overseas cases, the government and citizens have been working on the project with a long-term vision since 30 years ago, depending on th voluntary needs of the citizens. In the case of Korea, the history of regeneration project is short, which highlights only the aspects of government-led physical regeneration and the creation of local attractions. To address these problems and limitations, the development of a sustainable-type regenerative architecture model, the development of a space with contents, and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to prevent gentrification should be activated. Regeneration of industrial heritage in the future should be a master plan that will lead to the needs of all members of society.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배경

2-1. 도시재생의 정의

2-2. 재생건축의 정의

2-3. 산업유산 재생사업의 목적과 효과

3. 사례 분석 및 비교

3-1.사례 선정 기준

3-2. 해외 사례

3-3. 국내 사례

3-4. 사례별 분석 및 비교

4. 디자인문화공간 활성화 방안

4-1. 한계와 문제점

4-2. 활성화 문제 해결과 방안

5.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