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4346.jpg
KCI등재 학술저널

교사자율성, 교사협력, 교사효능감이 수업혁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er’s Autonomy, Collaboration and Self-efficacy on Improvement of Instruction

DOI : 10.24299/kier.2018.31.3.145
  • 1,867

본 연구는 교사자율성, 교사협력, 교사효능감이 수업개선에 미치는 영향과 그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여 일반학교와 혁신학교에서 각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에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보고, 일반학교의 수업개선 지원 방향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한 조사는 서울지역 26개 고등학교 교사 434명으로 20개 일반학교 교사 215명, 지정 5년 이상 경과된 6개 혁신학교 교사 219명을 대상으로 교사자율성, 교사협력, 교사 개인효능감, 교사 집단효능감, 수업개선 노력에 대해 자기보고식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에서 나타나는 각 변인간의 구조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집단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자율성은 교사협력, 교사 개인효능감, 수업개선에 영향을 미쳤으며, 교사협력은 교사 집단효능감과 수업개선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사자율성은 수업개선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교사협력을 매개로 수업개선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일반학교와 혁신학교는 구조적 관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학교는 교사협력을 매개로하는 경로만 유의했으나 혁신학교는 교사협력을 매개로 하는 경로 뿐 아니라 교사자율성과 수업개선의 직접경로도 유의했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학교의 수업개선을 위해서는 교사자율성을 확대하고 교사협력 시스템을 구축하고 강화하기 위한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teacher’s autonomy, teacher collaboration and teacher efficacy on the improvement of instruction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the structured relationships between general schools and innovation schools(Hyuksin school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434 high school teachers in Seoul were surveyed. Also,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Multiple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employed to learn the structured relationships of each variable. SPSS Statistics 20 and SPSS AMOS 24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th from teacher autonomy to teacher collaboration, teacher self󰠏efficacy and improvement of instruction was significant. The path from teacher collaboration to teacher group󰠏efficacy and improvement of instruction was also significant. Second, as for the significant path influencing improvement of instruction, there were significant results in both the direct path from teacher autonomy to improvement of instruction and the path from teacher autonomy to improvement of instruction via teacher collaboration.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general schools and innovation schools. The path from teacher autonomy to improvement of instruction in general schools was not significant and it showed no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On the other hand, it showed a significancant result in innovation school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