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고전소설인 <운영전>과 야담인 <逢異才弄筆玩技>에서 나타나는 역사적 인물 안평대군의 형상화와 표상, 논평을 통해 역사적 인물을 문학적으로 재구성하는 문학적 상상력과 그 의미를 논의하는 것이다. <운영전>의 내부액자에는 안평대군을 문필가, 지인지감의 예술 후원자, 권력을 가진 통제자의 자질과 모습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운영전>의 외부액자에서는 수성궁의 묘사, 인물의 반응을 통해 안평대군에 대한 비애적 감정을 드러내고 계유정난에서 패배하고 죽임을 당한 안평대군에 대한 동정적인 시각을 표현한다. <逢異才弄筆玩技>의 서두부, 행적부에서는 안평대군을 문필가, 지인지감의 예술 후원자, 풍류남의 자질과 모습을 형상화하고 있다. <逢異才弄筆玩技>의 논평부에서는 안평대군이 권세와 재주는 뛰어났지만 이것을 신중하게 사용하지 못했기 때문에 계유정난에서 패배하여 파국을 맞게 되었다는 부정적인 시각을 표현한다. <운영전>의 내부액자와 <逢異才弄筆玩技>의 서두부와 행적부의 인물의 자질과 모습은 역사를 모방하거나 유사하게 인물을 구성하려고 하는 역사 유사화의 모방적 상상력이라고 할 수 있다. <운영전>의 외부액자와 <逢異才弄筆玩技>의 논평부의 역사적인물 안평대군에 대한 각기 다른 해석과 시각은 역사적 사건과 인물을 다양하게 바라보는 역사 평가화의 해석적 상상력이라고 할 수 있다. 역사 유사화의 모방적 상상력은 역사적 인물 안평대군을 문학에서 형상화할 때 반복적 인물 자질과 성격을 만드는 기제이며, 역사 평가화의 해석적 상상력은 새로운 안평대군의 서사를 만드는 기제가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literary imagination of reconstructing historical character and its meaning through imagery, representation and comments on historical character, Anpyeong prince who appears in Unyeongjeon and Bongijaerongphilwangi. In the interior frame of Unyeongjeon, Anpyeong prince is shaped as a writer and caligrapher, a patron of the arts and a commander with power. Emotion of grief and sympathetic view about Anpyeong is expressed through description of Suseong palace and reaction of figures in the interior frame of Unyeongjeon. The beginning and body part of Bongijaerongphilwangi is shaping a writer and calligrapher, a patron of the arts, a man of refined taste. In the comment part of Bongijaerongphilwangi, Anpyeong is viewed negatively that he is defeated in the Gyeyujeongnan because he used his talents uncarefully. The shape of figures in the interior frame of Unyeongjeon and the beginning and body part of Bongijaerongphilwangi, is imitating imagination of history simulation which constitues figures imitating history. The meta-view about Anpyeong prince in the exterior frame of Unyeongjeon and comment part of Bongijaerongphilwangi, is the interpretive imagination of history assessment which views historical events and characters variously. The imitating imagination of history simulation gives material that make repetitive talent and personality of character when shaping a historical character, Anpyeong prince in literature. The interpretive imagination of history assessment gives material that make the narration of Anpyeong prince fresh.
1. 머리말
2. <운영전>과 <逢異才弄筆玩技>의 안평대군 형상화, 표상, 논평
3. <운영전>과 <逢異才弄筆玩技>의 안평대군에 대한 상상력과 의미
4.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