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4373.jpg
KCI등재 학술저널

<밥 안 먹는 마누라> 유형의 신화적 해석

Myth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type of <my wife who does not eat rice>

  • 206

이 논문은 한국 남부에 전승되고 있는 <밥 안 먹는 마누라> 유형에 대한 신화적 분석을 시도한 것이다. 총 7편이 채록된 이 설화의 내용은 간단하다. 한 남자가 밥을 많이 먹는 아내를 제거하고 밥을 안 먹는 아내를 맞이한다. 그런데 오히려 곡식이 더 줄자 몰래 새 아내를 살펴보니 머리를 열고 더 많은 밥을 집어넣고 있었다는 내용이다. 이 설화에서 눈에 띄는 두 가지 대립적 관념은 대식과 소식이었다. 대식과 소식이란 표면적 주제, 그리고 아내 살해, 머리로 밥을 먹는 괴이함이 특징이다. 살해된 아내의 배를 갈라 밥과 콩을 확인하는 부분에서 시체화생형 곡물기원 신화와 비교해 논해질 수 있었다. 시체화생형 곡물기원 신화는 먹는다는 것은 죽음을 전제로 한다는 인생의 모순을 직시한다. 이 모순이 가진 삶의 기괴함은 이 유형에서 남편에 의한 아내 살해, 머리를 열고 밥을 넣는 존재라는 두 괴이한 요소로 등장했다. 그것은 살해되고 해체된 곡물신과 새로운 농경을 위한 그 육체의 재구성에 대한 직접적 비유였다. 동시에 인간의 삶을 위해 죽어야만 하는 신성과 그 죽음에 대비되는 생명력이 소식 과 대식이라는 특징으로 나타났다. 이 논의를 통해 지금까지 한반도에서 확인하지 못했던 시체화생형 곡물기원 신화가 변형된 형태로 전승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ttempted to analyze myths about the type of my wife who does not eat rice which is handed down to Korea. The contents of this narrative, which is a total of seven versions, is simple. A man picks up his wife who eats a lot of rice and then gets a wife who does not eat rice. However, when the grain was getting smaller, he secretly saw his new wife and said that she was opening his head and putting more rice. The two noteworthy notions in this tale are a lot of eating and a little eating. It is characterized by the murder of wife, and the weirdness of eating rice as a head. The story was able to be discussed in comparison with the Hinuwelle type Myth in the part of checking the rice and the bean by opening the stomach of the murdered wife. The Hinuwelle type Myth faces up to the paradox of life that eating is premised on death. The weirdness of life by this paradox is that this type has two strange elements: the wife killed by husband and dissection of the body, the eating rice as a head. It was a direct analogy to the murdered and disintegrated grain god and reconstruction of the body for new farming. At the same time, the divinity that must die for the human life and the life force against the death were characterized as a little eating and a lot of eating Through this discuss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Hinuwelle type Myth, which had not been confirmed on the Korean peninsula until now, is handed down as a modified form.

1. 머리말

2. 대식과 소식의 대립

3. 시체화생형 곡물기원 신화의 확장

4.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