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4426.jpg
KCI등재 학술저널

보살, 그는 누구인가

Bodhisattva, Who is he? : The View of Bodhisattva of Prof. Rhi Ki-Young

  • 187

불연 이기영 선생은 1996년 11월 9일 <불교와 국가>를 주제로 한국제학술회의에서 기조강연을 마친 후 홀연히 세상을 떠나셨다. 갑작스런 타계를 사람들은 ‘학술열반’이라 하였다. 그런데 우리에게 ‘불교’와 ‘국가’는 서로 대립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국가’가 세속적인 제도임에 반해 종교로서의 ‘불교’는 세간을 넘어서는 것이기 때문이다. 불연은 이러한 우리의 생각을 잘못된 이원론이라 하여 통렬히 비판한다. 그에게 있어 예토와 정토는 본래 일심이다. 동일한 논리는 공산주의, 자본주의에도 적용된다. 공산주의와 자본주의가 다 함께 비판되고 있는 것이다. 공산주의는 ‘나의 것’으로서의 사유재산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리고 자본주의는 개인의 자유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불교와 닮아 있기는 하지만, 전자는 연기의 법칙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후자는 개인을 독립적 실체로 상정한다는 점에서 불교 정신과는 차이가 있는 것이다. 불연은 종종 원효의 사상을 귀일심원·요익중생으로 요약한다. 동시에 불연은 이 구절을 자신의 사상적 지표로 삼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사람 사이에 차이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원효의 철학에서 이 세계로 돌아옴이라는 지향성이 보다 강조되고 있다면, 불연의 사상에서는 귀일심원·요익중생이 서원으로 제시됨으로써 현실에서의 실천이 강조되고 이것이 궁극적으로는 정토로의 지향으로 나타난다는 점이다. 한편 귀일심원·요익중생은 지혜와 자비라는 대승의 두 날개, 보살의 삶의 방식 이외의 다른 것이 아니다. 불연이 보살의 삶을 강조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보살의 삶의 강조는 일단 역사상 위대한 보살의 삶을 조명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하지만, 이는 자연스럽게 스스로 보살이 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결의로 귀결되지 않을 수 없다. 우리는 불연의 많은 글에서 그러한 점을 발견한다. 여기에서 우리는 불연이 ‘이 시대’의 보살이라는 점을 상기하게 되고 나아가 보살됨은 이제 우리의 궁극적 과제가 됨을 깨우치게 된다.

Prof. Rhi Ki-Young had suddenly passed away at November 9, 1996 after a keynote address in an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 whose main theme was “Buddhism and the Nation.” At that time people have called his death as ‘an academic parinirv&#257;&#7751;a.’ Anyway it would be natural for us to consider the relation between Buddhism and nation to be contradictory, because Buddhism is in a sense sacred in comparison with the nation which is to be a profane institution. On the contrary Prof. Rhi has criticised this view severely as a wrong dualism. As for him this polluted world and the pure land are at the same time il-sim 一心, one-mind. The same logic can be applied to the communism and capitalism. Namely both communism and capitalism are criticised by Prof. Rhi. It is true that there are similarities between these two ideologies and Buddhism especially in the sense that communism do not approve the private ownership system and the capitalism emphasizes the freedom of the individuals. Nevertheless it is also true that there is an important difference between them. Communism do not recognize the principle of dependent-arising of Buddhism and the capitalism considers individuals as dependent substitutes. Prof. Rhi summarized Wonhyo’s thought usually as ‘Returning to the source of one-mind, Benefitting widely sentient beings.’ At the same time he makes this phrase his ideological base of practical thought. In spite of such a situation, we should not be neglectful of the fact that there are basic differences in their stream of thoughts. In Wonhyo’s philosophy we can find the directivity to the returning to this world. To compare with this tendency, we can find the reverse directivity in the thought of Prof. Rhi. Namely when Prof. Rhi suggests the phrase ‘Returning to the source of one-mind, Benefitting widely sentient beings’ as a deep religious vow, this inevitably results in the emphasis of practice in this world and futhermore the directivity to the pure land become to be appeared. Meanwhile ‘Returning to the source of one-mind, Benefitting widely sentient beings’ is none other than ‘wisdom and compassion’ which are two wings of Mah&#257;y&#257;na and at the same time the way of life of a Bodhisattva. That is why Prof. Rhi emphasized the life of Bodhisattva so continuously. It is natural that the emphasis on the life of Bodhisattva starts with the illuminating of the lives of the great Bodhisattvas whether they are historical or mythological figures. But it naturally results in his or her decisions to be the bodhisattva for themselves. We can find such a situation in numerous writings of Prof. Rhi, and this is the very thing that we can call Prof. Rhi as a bodhisattva in our age. And this finding make us to recognize our ultimate responsibility that we are to be bodhisattvas for ourselves in this age.

요약문

Ⅰ. 마지막 학술회의, 「불교와 국가」

Ⅱ. 위대한 보살, 위대한 수행자

Ⅲ. 원효, 귀일심원·요익중생

Ⅳ. 불연, 이 시대의 보살

Ⅴ. 오늘 우리는

약호 및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