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4428.jpg
KCI등재 학술저널

자원재생에 있어 공예적 요소를 부각한 해외 사례 연구

A Study on Overseas Cases Stressing Crafts Elements in Resources Recovery : Focusing on Japanese Resources Recovery Brands

  • 229

최근 자원의 한계성과 환경오염에 대한 위기의식이 부각되면서 폐기물을 자원이라는 인식전환으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자원재생에 앞장서고 있는 일본 브랜드를 현장 방문하여 그들의 상품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자원재생 브랜드 전략의 특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자원재생의 이해와 국내 자원재생 현황을 파악하였고, 이를 통해 자원재생 브랜드 이미지 강화를 위한 공예적 요소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둘째, 자원재생에 있어서 인식의 전환에 성공한 일본의 대표적인 자원재생 브랜드 3곳을 선정하고, 관계자의 설명 및 면담을 토대로 현장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현장 방문 조사 및 수집된 자료들을 토대로 공예적 요소에 의한 자원재생의 브랜드 전략의 특징이 도출되었는데, 그 내용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물을 보는 관점과 생각에 대해 새로운 시점을 제시해 주고 있었고, 둘째, 자원 재생을 위한 자원의 선택 면에서는 각기 다르지만, 활용 면에서는 제작 시 스토리 전달이라는 공통점이 있었다. 셋째, 자원 재생의 활용은 재이용과 새로운 생산과 새이용의 모습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마지막으로, 여러 가지 사회적 활동의 기획과 개최로 자원재생 브랜드가 아닌 고급 공예브랜드로써 인식이 개선되어 일상생활 속에 자리 잡고 있었다. 이는 향후 진행될 국내 자원재생을 위한 공예 시장 활성화 및 가능성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Recently, we are facing the shortage of resources and also the crisis of environmental pollution. At this point, we should find out ways to use wastes efficiently thinking them as resou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isit Japanese brands taking the initiative in resources recovery, investigate and analyze their products, and draw the characteristics of the brands’ resources recovery strategies. First,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researcher tried to understand resources recovery and examined the actual status of resources recovery in Korea. As a result, this researcher has found that crafts elements are needed to enhance the image of resources recovery brands. Second, the researcher has selected three representative resources recovery brands in Japan which have successfully changed their consciousness about resources recovery and carried out field investigation grounded on the explanations and interviews of those concerned. Third, based on the field investigation and also data collected, this researcher has drawn the characteristics of resources recovery brands’ strategies in terms of crafts elements. The detail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y are suggesting new viewpoints about things or thoughts. Second, although they are different in selecting resources for resources recovery, they commonly try to deliver a message in terms of their utility. Third, the use of resources recovery is being conduct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reutilization, new production, or upcycling. Lastly, they are planning and holding a variety of social events and changing people’s recognition about them not as resources recovery brands but classy crafts brands. They are positioning in people’s everyday lives in that way.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foundational material to vitalize the crafts market in Korea and find the potential of resources recovery to be carried out afterwards locally.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해외 사례 연구

Ⅳ.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