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4479.jpg
학술저널

법원의 헌법판단을 위한 위헌심사기준 연구

A Study on Standards of Constitutional Review for Constitutional Judgment of Court

  • 307

법원은 헌법과 법률의 규정에 따라 명시적으로 분장된 위헌법률심판제청권, 명령ㆍ규칙에 대한 위헌심사권뿐 아니라, 그 본질적 기능인 구체적인 사건에서의 법률의 해석ㆍ적용에서도, 최고규범인 헌법을 해석의 토대로 삼아 헌법을 기준으로 구체적인 법률 또는 법률조항을 해석ㆍ적용하여야 하므로 법원의 일반 재판은 헌법판단을 전제하고 수반한다. 그리고 이러한 법원의 헌법판단과 관련하여 법률해석ㆍ적용을 지배하는 법원리가 ‘합헌적 법률해석의 원칙’이다. 합헌적 법률해석에 의해서 법률조항의 의미내용이 합헌적인 범위 내로 축소, 배제, 보충, 수정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합헌적 법률해석은 실질적으로 규범통제와 동일한 기능과 효과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법원은 일상적 법률해석에 있어서도 최고규범인 헌법의 기능과 효과가 투영되는 이상 자신이 채택한 법률해석이 헌법에 합치적인 것인지 여부를 상시적으로 결정하여야 하므로 이를 위해서 그 위헌 여부의 판단 기준과 척도를 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위헌심사기준’은 ① 헌법판단의 목적이 된 심사대상의 위헌 여부를 심사ㆍ논증하는 ‘척도 내지 방법’ 또는 ② 심사대상의 위헌 여부를 심사하는 ‘강도’를 의미한다. 헌법재판에서의 심사기준은 그와 관련된 기본권적 중요성, 침해의 심각성, 침해의 빈도 등에 따라 개별 기본권에 따른 고유한 기준이 발달하기도 하고, 같은 영역에 따라 강도를 달리하기도 한다. 이 연구에서는 일반적 위헌심사기준으로서 과잉금지원칙, 신뢰보호원칙, 소급입법금지원칙, 포괄위임금지원칙, 적법절차원칙을, 그리고 개별적 기본권 영역에서 발생하는 심사기준의 문제들을 평등권, 직업의 자유, 재산권, 사회적 기본권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그리고 그와 같은 헌법원리와 심사기준들이 헌법재판소와 법원의 실무에서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동일한 심판대상에 대한 상반된 판단을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헌법은 근본이념에 맞닿은 고도의 추상성으로 인해 정교화와 개별화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즉 문제되는 개개의 사안의 기본적 중요성과 사안이 갖는 특성에 따라 심사기준은 차등화되고 개별화될 수밖에 없다. 이 연구를 통해 이러한 개별화가 인간의 존엄과 가치의 실현이라는 헌법이념의 실현과 이를 국가공동체에서 갈등하는 권리와 원리들을 조화시키기 위한 노력의 과정임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법원이 비록 소수의 사건이지만 기본권에 관한 구제적(救濟的) 관심을 가지고, 기본권의 실질적 실현을 도모하고자 하는 시도를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법원의 적극적 역할이 진정한 의미에서 헌법을 실현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court carries out constitutional duties in trials and judgments that are not limited to constitutional judiciary functions directly endowed by certain constitutional provisions. Since the court is obliged to interpret and apply specific laws or provisions conforming to the Constitution, which is the supreme law of the country, its constitutional duties are extended to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law, which is the essential role of the court. Furthermore, when interpreting and applying the law in relation to constitutional decisions, the court is bounded by ‘a principle of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f the law,’ which denotes that the meaning of legal provisions may be reduced, excluded, supplemented and revised within the constitutional scope. In this sens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f the law has equivalent functions and effects with norm control. In that regard, the court should ensure that the interpretation of the law rendered by itself is consistent with the Constitution, insofar as the functions and effects of the Constitution are projected onto the ordinary interpretation of the law, and thus there needs to establish standards of review to determine the unconstitutionality. The ‘standards of review on unconstitutionality’ include 1) ‘the scale or method’ to examine and analyze the unconstitutionality and 2) ‘the intensity’ to scrutinize the unconstitutionality. For the standards of review in constitutional adjudication, the types and intensity may vary depending on the importance of the fundamental right at issue, the severity of the infringements, and etc. This research expounds general standards of review on unconstitutionality, such as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the rule against retroactive legislation, the rule against blanket delegation, and the principle of due process, and then examines the issues on the standards of review that arise in individual areas of fundamental rights, especially of equal protection, freedom of occupation, property rights, and social rights. Subsequently, this research analyzes how the aforementioned principles and the standards of review are reflected in practice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Judiciary via examinations of conflicting decisions made by both institutions towards the same object. This research figures out that the elaboration and individualization of the Constitution are inevitable due to the high degree of abstractness of the Constitution rooted in the fundamental ideology. That is to say, the standards of review should be differentiated and individualized depending on the basic importance of each issue at stake and the nature of the matter. The individualization would be a part of efforts to harmonize the realization of human dignity and value with other conflicting rights and principles. This research also demonstrates that the court, in a few cases, though, tries to realize substantial protection of fundamental rights with a strong interest in constitutional remedies to the fundamental rights. Hopefully,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the active role of the court in realizing the Constitution in a true sense.

국문요약

Abstract

제1장 서론

제2장 법원의 헌법판단과 위헌심사기준

제3장 일반적 위헌심사기준

제4장 기본권 영역에 따른개별적 위헌심사기준

제5장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