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대학생 토익성적 향상도에 따른 학습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상관관계 :항공서비스학과 학생을 중심으로

The Corelation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Focused on the Students in Airline Cabin Service Department

  • 327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에 중요한 변인인 학습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학습자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학습방법 제시가 목적이다. 분석 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Level 간 학습동기의 하위영역 별 평균값에 대한 차이비교 에서 4개의 하위영역 중 본질동기와 수업동기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Level 별 하위영역 평균값에서 Level 2가 Level 1보다 모든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Level 간 학업적 자아효능감의 하위영역 별 차이비교에서 3개의 하위영역 중 자기조절 효능감이 유일하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학습동기와 학업적 자아효능감의 하위영역 간 상관관계에서는 모든 영역이 상관성을 보였으며, 비본질 동기와 본질동기가 상호 상관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동기와 학업적 자아효능감의 하위영역 간상관성 분석에서는 자기조절효능감이 비본질 동기, 본질동기, 수업동기와 상관성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better teaching method to get the students to make more academic achievement in TOEIC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difference comparison of learning motivation has found that two subcategories show a statistically meaningful significance between two groups. Meanwhile, the group of Level 2 shows much higher means than Level 1 in the difference comparison of each subcategories. Secondly, the difference comparison of academic self-efficacy has said that self-regulratory efficacy only shows a statistical meaningful significance among three ones between two groups. Thirdly, all the subcategories of both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a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and the pair of extrinsic motivation and intrinsic one shows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self-regulratory efficacy only correlated with the ones of learning motivatio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