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발수요 가뭄지수의 적용성 연구
Applicability of the Evaporative Demand Drought Index
- 한국방재학회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18권6호
-
2018.10431 - 442 (12 pages)
- 80

수자원 관리에 있어 가뭄 모니터링은 반드시 필요한 항목이다. 현재 한국 기상청에서 운영 중인 가뭄 모니터링은 오직 강수량에 의해 좌우되는 가뭄지수인 표준강수지수(SPI)에 많이 의존되어 있다. 하지만 SPI는 강수 이외의 기상학적 변수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기후변화로 인한 증발산량의 증가가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가뭄 모니터링 분야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잠재증발산의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가뭄지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 잠재증발산 기반의 새로운 가뭄지수인 증발수요 가뭄지수(EDDI)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기상청 산하의 기상관측소의 1981-2017년까지의 기상자료를 대상으로 EDDI를 적용하여 우리나라의 가뭄 모니터링을 위한 EDDI의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EDDI와 SPI를 다양한 지속기간에서 비교하여 EDDI와 SPI의 시간적인 거동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EDDI는 과거 가뭄사상을 잘 재현하였으며 SPI와의 상관관계도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EDDI는 가뭄을 모니터링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rought monitoring is necessary for water resource management. The drought monitoring currently operat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is heavily dependent on the Standard Precipitation Index (SPI), which considers only precipitation. However, since SPI does not account for meteorological variables other than precipitation, it cannot account for the impacts of increases in evapotranspiration due to climate change.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studies on various drought indices that can reflect changes in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E0) have been undertaken, and a new E0-based drought index, the Evaporative Demand Drought Index (EDDI), has recently been established. In this study, the applicability of EDDI for drought monitoring in South Korea was evaluated using meteorological data from the KMA for the period 1981-2017. The temporal behaviors of EDDI and SPI were investigated by comparing EDDI and SPI over various time-sca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EDDI reproduced past drought events well and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SPI. Therefore, EDDI is expected to be effective for drought monitoring.
Abstract
요지
1. 서론
2. 증발수요 가뭄지수의 기본 개념
3. 연구방법 및 자료
4. 결과 및 토의
5. 결론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