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초연결사회의 정치경제학적 기원과 성격

The Origin and Nature of the Hyper-Connected Society in the light of Political Economy

  • 355
커버이미지 없음

오늘날 우리는 초연결사회에 살고 있다. 초연결사회란 초연결성(hyper-connectivity)으로 연결된 네트워크 사회(network society)를 말한다. 이러한 초 연결성의 기술적 토대가 오늘날의 제4차 산업혁명임을 잘 알고 있다. 이 글에서는 산업혁명의 단계적 발전의 패턴을 밝힘으로써 초연결사회의 기원을 발견하고자 한다. 산업혁명을 포함한 기술혁명의 변화의 패턴은 다음과 같이 지극히 단순하게 요약할 수 있다. ① 기술혁명→네트워크혁명. ② 네트워크혁명→사회적 네트워크의 변화 ③ 물질의 혁명→정신의 혁명. 산업혁명의 단계적 발전의 패턴은 다음과 같다. 따라서 네트워크 혁명의 차원에서 본다면 초연결사회의 기원은 1840년 이후 미국에서 일어난 철도혁명(2차 산업혁명)에서 찾아볼 수 있다.

Today we live in the Hyper-Connected Society. The Hyper-Connected Society is the network society connected with hyper-connectivity. We know that this technical substructure of hyper-connectivity i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paper, I want to find the origin of the Hyper-Connected Society by clarifying the pattern of the staged development of industrial revolution. The variation pattern of technical revolution including industrial revolution can be summarized very simply as follows; ① technical revolution → network revolution, ② network revolution화 → the variation of social network, material revolution→spiritual revolution. The pattern of the staged development of industrial revolution is as follows. Therefore, in the aspects of network revolution, the origin of the Hyper-Connected Society is the railroad revolution in USA after 1840.

Ⅰ. 서 론

Ⅱ. 초연결사회의 네트워크 속성

Ⅲ. 초연결사회의 기원으로서 철도혁명

Ⅳ. 초연결사회와 산업사회의 네트워크 비교

Ⅴ. 초연결사회의 기원의 계보

VI. 초연결사회와 4차 산업혁명

VII. 결론 그리고 초연결사회와 국가의 관계의 후속연구의 필요성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