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성인이행기 남녀의 가사노동 시간에 대한 탐색적 연구

Housework time during Transition into Adulthood : A Gender Comparison

  • 155

이 연구는 기존의 가사노동에 대한 연구들 대부분이 기혼을 대상으로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에서 벗어나 미혼으로까지 확장시켜 가사노동의 젠더불평등 문제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시도하였다. 성인이행기 남녀의 가사노동 시간을 통계청 2014년 생활시간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인 성인이행기의 생애과정을 혼인상태와 동거형태(Living arrangements)에 따라서 4가지로 유형화하였다. 가족과 함께 사는 미혼, 혼자 사는 미혼, 자녀가 없는 기혼, 자녀가 있는 기혼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여성은 어느 유형에서도 남성보다 가사에 참여하는 비율이 높았고, 가사노동 시간 또한 긴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성인이행기 중에서 결혼이라는 생애단계를 경험하며 가사노동 시간량이 급증했으며, 자녀가 생기면 더욱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할 점은 기혼 여성뿐만 아니라 미혼 여성 또한 남성보다 많은 가사노동을 하고 있었으며, 혼자 사는 미혼 여성은 다른 유형의 여성들보다 가장 적은 가사노동을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반면 혼자 사는 미혼 남성은 다른 유형의 남성들보다 가장 많은 가사노동을 하고 있었고, 가족과 함께 사는 남성은 가사에 참여하는 비율이 낮고, 시간 또한 적었다. 이는 여성이 남성보다 가사노동을 수행하도록 사회화되었으며, 실제로 젠더행하기 역할을 이행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Most research on gender divisions of housework focuses on marriedcouple in South Korea. This article extends this literature to examine gender differences in housework across Living arrangements and marital status, with particular focus on during transition into adulthood. This study examines the amount and composition of domestic work performed by 25-39-year-old using nationwide representative time-diary data in 2014. They are divided by marital status and Living arrangements: single with family, living alone, married without children and married with children. It finds that females spend more time on housework regardless of marital status and Living arrangements than males. This means that women are socialized to perform household labor. The highlight of this article is that females living alone spend less time doing housework than other females. In contrast, males living alone spend the longest hours on housework compared to males living with family. Moreover, females’ housework time increase rapidly after getting married, but males living with wives spend on lowest housework time.

Ⅰ. 연구배경 및 목적

Ⅱ. 선행 연구 및 연구 문제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