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4497.jpg
KCI등재 학술저널

회상중심 집단통합예술치료가 요양시설거주 치매 노인의 심리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

-자아통합감, 우울, 삶의 질을 중심으로-

  • 108

본 연구는 요양시설거주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우울여부에 따른 심리적 변인에 대해 살펴보고 회상중심 집단통합예술치료가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치매노인의 자아통합감과 우울,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전라북도 소재 G시 노인 전문요양원에 거주하는 노인 80여명 중 치매노인 50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25명씩 무선 할당하였으며, 최종 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20명의 총 4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2016년 5월 넷째주부터 7월 둘째주까지 주 2회 80분 씩 15회기 회상중심 집단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임상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자아통합감 검사, 한국형 축약 노인 우울 척도, 치매노인 삶의 질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사전 동질성을 확인하기 위해 독립 표본 t -test를 실시하였으며, 우울군과 비우울군 간의 심리학적 변인들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 표본 t -test를 사용하였다. 삶의 질과 인구통계학적 및 정신사회적 요인들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pearson correlation test를 시행하였으며, 치료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반복측정 변량분석 (repeated-measures ANOVA)을 실시하여 집단 간의 차이, 측정시기 간의 차이, 그리고 집단과 측정 시기 간의 상호작용의 효과 크기를 알아보았다. 모든 통계는 SPSS 21.0 version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우울 여부에 따른 비교에서 자아통합감과 삶의 질은 비우울군이 우울군보다 높았으며, 회상중심 집단통합예술치료는 요양시설거주 치매노인의 삶의 질과 자아통합감을 향상시키고, 우울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요양시설거주 치매노인의 삶의 질과 자아통합 감을 향상시키고, 우울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검증하였으며 이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임상적 시사점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