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미혼 여성의 다차원적 빈곤과 결혼의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김희정
-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세미나자료
- 세미나자료 2018년 9월
- 2018.09
- 199 - 220 (22 pages)
이 연구의 목적은 미혼여성의 다차원적 빈곤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경로와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자료는 여성가족패널(KLoWF) 6차를 활용하였다. 먼저 퍼지셋 분석을 통해 19~44세 미혼여성의 다차원적 빈곤율을 산출하여 독립변수로 활용하였고, 종속변수는 결혼의향으로, 매개변수는 연령 및 교육수준으로 구성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용여부에 따라 다차원적 빈곤과 결혼의향 간 영향력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자리가 있는 미혼여성은 실제적인 생활수준이 낮을수록 결혼의향이 낮아진 반면(β =-.108), 일자리가 없는 미혼여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일자리에 따라 교육수준이 다차원적 빈곤에 미치는 영향력의 방향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일자리가 있는 미혼여성은 교육년수가 증가할수록 다차원적 빈곤율이 낮아진 반면(β=-.281), 일자리가 없는 경우 다차원적 빈곤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β=.098). 셋째, 다차원적 빈곤과 결혼의향 간 모형에서 연령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은 반면 교육수준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의 고찰
Ⅲ. 자료와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