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인 신체건강을 위한 기공(氣功) 프로그램 효과성 메타분석
- 김일식 김계령 이수경 서호찬
- 한국노년학회
- 한국노년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 2017년 한국노인과학학술대회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7.11
- 219 - 219 (1 pages)
고령사회를 맞아 국내에서 노인 신체건강을 주제로 수행된 다양한 기공프로그램에 대해 메타분석을 사용하여 프로그램 유형 및 활동요소들의 효과크기를 검증함으로써 향후 기공 프로그 램 구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16년까지 국내에서 실시된 다양한 선행연구들 중 메타분석 요건에 맞는 학술지 논문 23편 과 학위 논문 11편 총 34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프로그램 유형, 측정변수, 총회기수, 주회기수, 활동시간, 집단크기, 질병유무, 성별, 출판여부에 따라 CMA 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동질성 검증 결과 이질적인 것으로 나타나 무선효과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빈도분석 결과, 프로그램 유형은 타이치 28편(82.3%), 측정변수는 체력 24편(52.2%), 성별은 여성대상 20편 (66.6%), 집단크기는 30명 이하 14편(46.7%), 총회기수는 31~40회 12편(40.0%), 주회기수 3회 16편(53.3%), 활동시간 60분 19편(63.3%)으로 나타났다. 전체효과크기는 .748로 중간크기로 나타났고, 프로그램 유형은 타이치가 .836으로 가장 높았다. 측정변수는 체력이 .806, 남성 집단 2.388, 집단크기 31~60명 .873, 총회기수 31~40회 .829, 주회기 5회 .918, 활동시간 50분 1.391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출판 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는 학위 논문이 .809로 높게 나타났다. 기공프로그램이 노인의 신체건강에 대한 효과크기가 .748로써 큰 효과크기(.8)에 근접한 결과 가 나타났다. 기공프로그램은 동작이 부드럽고 호흡과 동작에 의식을 일치시킴으로써 자신에게 집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특히 노인들에게 적합한 운동으로 권장되어오고 있다. 따라서 고령 사회를 맞아 노인들의 지속적인 참여 동기를 향상 시킬 수 있는 기공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향후 기공프로그램 구성 시 집단크기 31~60명, 총회기수 31~40회, 주회 기수 5회, 활동시간은 50분을 제안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