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4497.jpg
학술대회자료

노인의 만성질환·비공식 사회관계와 우울

  • 200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트레스 과정 이론에 따른 만성질환과 우울에 비공식 사회관계의 매개효 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기존의 우울에 대한 연구와 본 연구의 차이점은 만성질환의 유무에 따른 비공식 사회관계가 우울증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지 중점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보건복지부가 수행한 2014 노인실태조사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먼저 전국의 65세 이상 10,451명 중 5,648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과 만성질환·비공식 사회관계와 우울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회귀분석의 전제조건인 인과관계의 확인을 위해서는 변수들의 특성에 따라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만성질환과 비공식 관계에 따른 우울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과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분석의 유의수준은 5% 이하로 설정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만성질환과 비공식 사회관계가 노인의 우울사이에 미치는 매개효과 를 검증하였다. 검증 절차로는 Baron & Kenny(1986)가 제시한 매개효과검증 절차를 따랐다. 인 구사회학적 변수를 통제하고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만성질환에서 비공식 사회관계로 가는 경 로(β=.052, p<.001), 비공식 사회관계에서 우울로 가는 경로(β=.364, p<.001), 만성질환에서 우울로 가는 경로(β=.137, p<.001)가 유의미하여 비공식사회관계의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첫째, 비공식 사회관계가 만성질환과 우울에 매개하는 것을 보아 본 연구와 관련 된 후속연구의 방향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만성질환을 가지게 되면 비공식 사회관계의 만족도 또한 저하되고 결국 우울하게 된다는 매개 효과입증은 우울의 발생에 대한 과정적 접근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우울 치료에 비공식 사회관계도 접근해야 한다는 함의점을 가질 수 있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