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제99차 양성평등정책포럼고용시장에서의 남여 격차 현황과 정책과제

  • 41

지난 50년 간 여성 고용률은 상승 추세를 보이는 반면, 남성 고용률은 완만한 하락추세를 보였다. 여성 고용률의 상승은 고학력 여성의 비중이 증가하였기 때문이라는 것을 요인분해를 통해 알 수 있다. 그러나 여성 고용률이 급격히 하락하는 연령대는 25-29세에서 30-34세로 다소 연기되었지만 여성의 연령대별 고용률 곡선은 여전히 M자 모양을 유지하고 있다. 성별 임금격차는 지난 30년 간 상당히 줄어들었다. 성별 임금격차는 20대까지는 거의 없는 수준이지만 M자형의 고용률이 급격히 하락하는 연령집단에서 커지고 있다는 것을 파악할수 있다. 성별 임금격차의 60%는 생산성효과에 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근속기간과 산업의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사업체규모, 종사상지위, 직종도 생산성효과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된다.

Ⅰ. 들어가는 말

Ⅱ. 성별 고용률 현황 및 요인분해

Ⅲ. 성별 임금격차 현황 및 요인분해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