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영어수업의 어려움’ 연구

A Study on ‘Difficulties of Teaching English’ Perceived by Elementary Teachers

  • 399
144748.jpg

본 연구는 초등교사가 영어수업을 하면서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를 기술, 이해하고 해석함으로써 교사의 영어수업 전문성 신장을 돕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교원양성기관에서의 영어교육을 받았던 경험의 유무와 영어교육 경력을 고려하여 22명의 초등교사를 변인별로 균형 있게 선정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그들이 인식하는 영어수업의 어려움을 탐색하고 어려움의 양상을 군집에 따라 개념도로 작성하였다. 그 결과, 교원양성기관에서 영어교육을 받은 교사들은 ‘학생’, 교원양성기관에서 영어교육을 받지 않은 교사들은 ‘효율성’, 영어교육 경력이 높은 교사들은 ‘환경’, 영어교육 경력이 낮은 교사들은 ‘교사’와 관련된 어려움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어를 가르치는 초임 교사들을 위해서는 영어교사로서의 정체성 발달을 강화할 수 있는 학습을 촉진하여야 하며, 영어교육 경력이 높아질수록 영어수업과 관련된 복잡하고 다양한 상황에서 어떻게 반응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할 기회를 제공하여 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to improve elementary teachers’ teaching profession by describing,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what they’re having hard time to teach English. The in-depth interviews were implemented to 22 elementary teachers to understand their difficulties of teaching English in class and to draw concept maps to represent their characteristics of the difficulties based on the interview data. The result showed that the teachers who’d taken courses on teaching English during the undergraduate years perceived their difficulties due to students’ factors, whereas those who had not to efficiency of teaching. And the experienced teachers recognized the classroom environment, whereas the novice ones did teacher factors to cause their difficulties of teaching English. It was concluded that novice teachers who teach English for elementary students need to strengthen their identity as English teacher to facilitate learning, and as for experienced teachers they need to improve their teaching profession by providing opportunities to consider how they respond in the complex and diverse environment when they teach English.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