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교육에서의 학습용 보드게임 적용 효과
Effects of Board Game Learning in Nursing Education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18권 21호
- : KCI등재
- 2018.11
- 45 - 64 (20 pages)
본 연구는 보드게임을 교수-학습방법으로 적용하여 학습동기, 자기주도성, 학습몰 입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G 도에 소재한 대학의 간호학과 3학년 학생으로 실험군은 76명, 대조군은 78명 총 154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보드게임 수업은 2017년 1학기 성인간호학 15주 수업에서 후반부 3주 동안 총 6시간에 걸쳐 2개 분반에 적용하였다. 실험군의 수업설계는 오리 엔테이션, 중간고사 및 기말고사를 제외한 강의식 수업 9주와 보드게임 수업 3주로 하였고, 대조군은 오리엔테이션, 중간고사 및 기말고사를 제외한 강의식 수업 12주로 진행하였다. 연구 자료는 Repeated measure ANOVA와 paired t-test로 분석하였 다. 연구결과, 보드게임 수업을 적용한 실험군은 강의식 수업을 적용한 대조군보다 학습에 대한 학습동기, 학습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만족도 점수가 높아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자기주도성 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로 학습동기, 학습몰입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으로써의 보드게임의 효용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보드게임 학습방법의 효과를 유아나 초등생이 아닌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보드게임을 활용한 교수학습법이 유용한 학습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board game learning on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elf-direction, learning flow,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satisfaction.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54 nursing students in G-do, 76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78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The board game class in adult nursing was held in the first semester of 2018 . Bot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given the same course orientation, traditional lectures, midterm and final exams. Duding the 3 weeks before final exam, board game learning was given to experimental group, traditional lectures to control group.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χ 2 -test,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 and paired t-test .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flow,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satisfac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direction scores, however. Therefore, This results showed the usefulness of the board game learning but also for nursing students has positive effects on several learning outcomes as a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not only for children and younger students. This new learning strategy with a board game could apply to various nursing subject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