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국내 진로보드게임의 내용 분석: 학교진로교육 목표를 중심으로

The Content Analysis of the Career Board Games: Focused on the 2015 school career education objectives

  • 667
144848.jpg

본 연구는 초·중학교 진로교육에서 진로보드게임의 실제적 활용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7년 5월 30일∼2017년 7월 5일까지 진로를 주제로 제작된 보드게임을 온라인에서 조사하여 19종의 게임을 구매하였다. 각각의 진로보드게임이 초·중학교 학교진로교육 목표의 8개 범주를 얼마나 포함하고 있는지에 대해 2017년 7월 7일∼2017년 8월 26일에 걸쳐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관련분야 전문가 3인이 실제 게임을 진행해보면서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진로교육 목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을 때, 학교진로교육 목표의 8개 범주들 중 진로보드게임에 포함된 범주에는 차이가 있었다. 분석대상 게임의 대부분 에서 나타난 범주는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역량개발(100%)”, “변화하는 직업세계 이해(94.7%)”, “진로의사결정능력개발(84.2%)”이었고 반면, 상대적으로 포함 비율이 낮은 범주는 “진로설계와 준비(10.5%)”, “직업정보의 탐색(15.8%)”, “건강한 직업의식 형성(26.3%)”, “교육기회탐색(26.3%)”이었다. 둘째, 진로보드게임을 중심으로 살펴보 았을 때, 각 보드게임이 학교진로교육 목표 범주를 포함하고 있는 정도는 게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하나의 게임이 최대 8개에서 최소 2개를 포함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진로보드게임은 초·중학교 진로교육 목표를 달성하는데 활용 가능 함을 알 수 있었다. 다만, 각 게임에 따라 진로교육목표 8개 범주의 포함 정도가 다양 하므로, 진로교육 시 달성하고자 하는 진로교육 목표에 적절한 보드게임을 확인하고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ossibility of practical use of board games in the field of a career education. To do this, we purchased 19 kinds of games by searching online for board games from May 30, 2017 to July 5, 2017. We conducted preliminary evaluation, setting and definition of analysis categories, and content analysis through this evaluation process, from July 7, 2017 to August 26, 2017. Three career education specialists investigated the validity of nineteen board games, by playing the games. They focused on how many categories st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ere included and reflected in an each gam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ny of the board games uphold 1) building a relationship and developing a communication skill(100%), 2) understanding a changing career world(94.7%), and 3) a decision making ability on an individual career(84.2%). However, four categories, 1) planning and preparing for a career(10.5%), 2) searching for job information(15.8%), 3) developing a positive perspective on a job (26.4%), and 4) exploring an opportunity of a career education(26.3%) are relatively less involved in the board games. Second, all career board games include at least two categories up to eight. What is reflected in the each board game varies.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career board games are applied and implicated in a career education. We, now, draw a conclusion that the board games are practicable education tools in the area of a career education. Yet, a teacher’s thorough understanding on the rules of the board games should take precedence, which only makes it possible that the board games as educational tools meet the purpose of the career education.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