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4861.jpg
KCI등재 학술저널

근로소득자와 사업소득자의 납세의식에 관한 차이분석 :

An Difference Analysis on the Tax Consciousness of the Employe and Self-Employed : The Case Study of Daejeon, Sejong, Chung Cheong Area

DOI : 10.38115/asgba.2018.15.5.67
  • 176

본 연구는 요인분석에서 추출한 납세 윤리성과 납세자 정직성을 성실납세 내적 동기로, 납세 순응도와 납세 보상성, 조세 공평성을 성실납세 외적 동기로 구성하여 이원 분산분석(two-way ANOVA)으로 근로소득자와 사업소득자 및 성별에 따른 납세의식 차이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실납세 내적 동기를 구성하는 납세 윤리성과 납세자 정직성에서 주효과(근로자·사업자, 성별)와 상호작용효과 모두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실납세 외적 동기를 구성하는 납세 순응도에서 근로자·사업자 간 납세의식 차이가 유의수준 10% 내에서 제한적으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납세 보상성은 성별에 따른 납세의식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조세 공평성에서는 상호작용효과가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실납세 내적동기와 성실납세 외적동기에 대한 분석에서 두 요인 모두 주효과와 성실납세 내적동기의 상호작용효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러나 성실납세외적동기에서는 근로자·사업자 집단과 성별에 의한 상호작용효과가 유의수준 10% 내에서 제한적으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납세의식을 개선하는 조세정책의 수립이나 납세환경개선 활동에 적절한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the taxpayers consciousness between employees and the self-employed in Daejeon, Sejong, Chung cheong area. the tax consciousness is divided into the internal motivation of tax consciousness and external motivation of tax conscious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difference of tax consciousness showed that both the main effects(employees·the self-employed, gender) and interaction effects of tax ethics and taxpayers honest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difference in tax consciousness between employees and the self-employed in tax compliance was found to be of limited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in the 10 percent level, and the difference in tax consciousness by gender in tax compens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ax fairness, the effects of interaction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in the analysis for the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 for tax consciousness, the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employees·the self-employed by gender was found to be of limited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in 10% of the significant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to establish appropriate directions for establishing the tax policy to improve the tax consciousness in the future and improving the taxation environment.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실증분석 및 결과

Ⅴ.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