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ork Experience of Child Protective Service Counselors with Less than 3 Years of Experience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의 업무경험: 3년 이하 경력자를 중심으로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한국위기관리논집
- Crisisonomy Vol.14 No.9
- : KCI등재
- 2018.09
- 55 - 70 (16 pages)
본 연구는 2017년 6월에서 9월까지 아동보호전문기관에서 근무하는 3년 이하의 상담원 11명을 대상으로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의 업무수행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해 면담한 내용을 Colazz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모두 대졸 학력으로 사회복지 전공자이자 사회복지사 1급이었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74개의 진술과 31개의 주제묶음, 7개의 범주를 발견할 수 있었다. 7개의 범주는 ‘근무 전에 아동보호에 자신이 있었음’, ‘모든 학대에 노출됨’, ‘긴장감 속에 삶’, ‘주변 관계자 들은 무정함’, ‘내 삶과 상담원의 삶이 엉킴’, ‘ 나의 과거, 현재, 미래가 흔들림’, ‘물밑에서 숨쉬려 애씀’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들에게 개입해야 할 실천적, 정책 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terviewed 11 counselors who has been working less than 3 years at a regional child protective service center from June to September 2017 to understand their work experiences, and analyzed the interview contents using the Colaizzi method, one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s. All of the counselors were college graduates majoring in social welfare and had the first-grade social worker license. The study found 74 statements, 31 theme clusters, and 7 categories such as ‘prior to joining, I was confident in counseling for abused children’, ‘I am overexposed to all abuses’, ‘I live in tension’, ‘people around me are uncooperative’, ‘my personal life is tangled with life as counselor’, ‘my past, present and future are shaking’, and ‘I try to breathe under the water’.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practical policy plans on how to support counselors working in child protective services.
Ⅰ. 서 론
Ⅱ. 선행연구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