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5009.jpg
학술저널

직무 및 조직몰입-성과 간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ttitudes and Performance

  • 162

경영학 관련 연구에서 실제 성과에 대한 측정의 어려움은 연구모델의 일반화 가능성을 제약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고려된다. 특히, 기업 조직에서 성과평가 결과는 비밀주의 관행에 의해 종업원 개인에게 만 일부 공개될 뿐 좀처럼 접근하기 어려운 영역으로 남아있다. 이런 이유로 연구자들이 실제 성과를 연구모델에 포함시켜 실증 검증을 시도하는 연구는 해당 연구모델의 이론적 실무적 가치를 논하는데 있어 긍정적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그러나 실제 성과평가결과를 다루는 연구들은 편의샘플을 활용하거나 제한된 샘플 수로 인해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실제 성과를 예측할 수 있는 대체재로서 태도를 활용해 오고 있다. 그러나 기존 관련 연구에서 태도-성과간의 관계는 여전히 일관된 인과적 맥락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5년 봄학기부터 2015년 봄학기까지 K대 경영학과에 개설된 인사조직관련 과목 중 연구자의 수업을 수강한 366명으로부터 데이터를 확보하여 두 개의 연구 과제를 통해 그 인과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직무 및 조직몰입은 학생들의 성적을 거의 설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효한 직무태도관련 개념의 지속적인 탐색, 발굴 및 검증이 향 후 연구에서도 여전히 숙제로 남아있다.

Researchers in management are facing one of the major sticking points, an actual performance measure that does work as a roadblock generalizing theories related. In particular, no performance data in corporate organizations are accessible because of the secrecy policy. Therefore papers including actual performance data are often appreciated in review processes in journals. However, it’s hard for researchers in the studies to get a valid and reliable research finding on account of the use of a convenient sample or a limited number of samples. Hence it has been studied whether attitudinal variables can explain the actual personal performance. Unfortunately previous relevant studies didn’t show that there was a consistant causality between them. 366 data are collected from students who attended in my classes from spring semester 2005 to spring semester 2015 to explore two research questions. The findings indicate that job involv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idn’t explain grades. Exploring an effective attitudinal variable is still left as an assignment for the future studies.

국문초록

Abstract

I. 문제제기

II. 기존 연구 및 연구 과제 도출

III. 연구과제의 검증

IV. 결론 및 토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