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5013.jpg
학술저널

광역시도별 탄소배출효율성 추정 및 요인분석

An Analysis of Regional Carbon Emission Efficiency and Affecting Factors in Korea

  • 97

파리기후협약 이후 한국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세우고 국내산업 구조를 저탄소 산업으로 전환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 방안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본 연구는 자료포락분석을 통한 한국의 광역시도별 탄소배출효율성을 추정하였으며 패널분석을 통해 탄소배출효율성에 미치는 요인을 산업ㆍ제조업별로 분석하였다. DEA 분석결과를 보면 규모불변 산출물 지향적인 탄소배출효율성에서 광주광역시와 제주도는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규모가변 산출물 지향적인 탄소배출효율성에서는 광주광역시, 제주도, 서울특별시가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규모효율은 광주광역시, 제주도가 규모효율적으로 확인되었다. 패널분석 결과를 보면 3차 산업의 비중과 ICT 제조업의 비중이 증가할수록 탄소배출효율성이 개선되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에너지집약 제조업과 광업의 비중이 증가할수록 탄소배출효율성이 악화됨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국내 산업 구조를 저탄소 산업 구조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3차 산업의 비중을 늘려야 하며 저탄소 고부가가치 제조업인 ICT 제조업의 비중을 늘릴 필요가 있다.

After the Paris Agreement, Korea sets up the plan to reduce Greenhouse gases and develops its domestic industries into low-carbon industries. This study measures regional Carbon emission efficiency in Korea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investigates determinants which impact on the carbon emission efficiency through panel analysis.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the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RS Output-oriented carbon emission efficiency results indicate that Gwangju and Jeju measure the maximum efficiency. VRS Output-oriented carbon emission efficiency reveals that Gwangju, Jeju, and Seoul measure the maximum efficiency. Scale efficiency suggests that Gwangju and Jeju are scale-efficient. Second, panel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increase of the tertiary industry proportion and ICT manufacturing industry proportion could improve the carbon emission efficiency. On the other hand, increasing in Energy intensive manufacturing industry proportion and mining proportion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carbon emission efficiency. In summary, with the purpose of converting domestic industries into low-carbon industries, Korean government should raise the proportion of the tertiary industry as well as the proportion of ICT manufacturing industry, which is a low-carbon and high-value manufacturing industry.

Abstract

I. 서론

II. DEA

III. 패널데이터에 대한 실증분석

IV.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약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