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사용동기 및 활용에 관한 연구
- 중국 베이징과 청다오, 한국 서울시 중심으로 -
- 척 량(Qi Liang) 이승신(Seung Sin Lee)
- 건국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 상경연구
- 제37권 제1호
- 2012.03
- 33 - 61 (29 pages)
본 연구는 최근 급성장하는 스마트폰의 사용에 관한 연구로서 애플리케이션 활용을 분석하여 보았으며 특히 중국의 스마트폰 사용자의 시장 현황을 한국과 비교하여 보았다. 문헌조사를 통해 스마트폰에 관한 전반적인 이론적 고찰과 스마트폰 사용동기 변수 및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활용 변수 두 가지를 추출하여 실증조사를 위한 기본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연구표본은 한국의 서울특별시와 중국의 베이징시(Beijing)·칭다오시(Qingdao)에 거주하는 한·중 소비자를 각100명을 선정하였으며, 편의표본추출로 선출하여 총200부를 유효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연구문제를 해석하기 위해 T-test, ANOVA,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소비자 스마트폰 사용동기와 애플리케이션의 활용이 다르게 나타나며 사용동기에서는 한국소비자보다 중국소비자가 자료 및 정보습득, 커뮤니케이션/사회적 관계, 서비스 통합성, 습관성, 사용 편리성 등 동기로 인해 스마트폰 사용한다고 분석하였다. 애플리케이션 활용에 대하여 게임, 디지털 음악 및 전자책 등 측면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게임과 전자책 경우에는 한국소비자보다 중국소비자가 더 잘 활용하는 것을 보였고 디지털 음악에서는 한국소비자가 더 잘 활용하고 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ᆞ중 양국 소비자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활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This study provid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via the literature of the relevant pilot studies, and thus derives the motivation to use Smartphone and the variables in Smartphone application, with an empirical analysis by means of questionnaire. The location of questionnaire distribution under discussion lies in Seoul, Korea, and Beijing and Qingdao, China. This present thesis first makes a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statistics of the 100 questionnaires sampled from the total, and then discusses the questions concerned in this paper through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present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motivation to use Smartphone for Koreans and Chinese is respectively as follows: in the case of the Korean consumers, Smartphoneare mostly used for the convenience in financial services in the sectors of banking, securities, etc., and in SNS service, since their use is just like the case of computer use that boasts of a flexible application. The failure to use those smart phones means, to some extent, being out of date. In addition, the convenience also lies in such cases as travelling by public transport, where the users can receive and send emails anytime and anywhere, kill the time, make a call and send instant messages. For the Chinese consumers, their use motivation mainly lies in those applications where users can, though the smart phones, read news of diverse kinds, enjoy SNS service, add and delete any applications at their disposal, conveniently receive and send emails anytime and anywhere, kill the time, make a call and send instant messages, and sometimes they use those phones simply under the recommendation of their neighbors and friends. 2. The choices for the applications of Smartphonefor the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are as follows: the similarity in their choices lies in the fact that for both the Korean and Chinese users, the most commonly chosen application is SNS, that is, both groups of users make SNS as their first and primary purpose of using smart phones. The difference in their choices lies in that for Chinese consumers of smart phones their use in the applications of game, digital music and e-book is more frequent than that of the Korean consumers.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