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도시 차량 공유경제 사례분석을 통한 한국의 카셰어링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Car sharing in Korea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Vehicle Sharing Economy in the US Cities
- 미래학회
- 미래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 2018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
2018.11149 - 156 (8 pages)
- 1,412

소유가 아닌 공유를 기반으로 하는 공유경제라는 패러다임의 등장과 함께 관련된 카셰어링 비즈니스도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다. 미국의 우버(Uber)와 집카(Zipcar)로 대표되는 카셰어링 업체가 주목을 받으면서 공유경제와 차량 공유경제에 대한 연구 또한 최근에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카셰어링 비즈니스가 성장함에 따라 가까운 미래에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차량 보유 대수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미국 내 우버(Uber)의 최대 경쟁기업인 리프트(Lyft)의 공동설립자 존 짐머와 로건 그린은 2025년까지 미국 주요 도시의 개인 자동차 소유권이 사라질 것이라는 다소 파격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실제로 미국은 2006년도를 정점으로 이후부터 가구당/일인당 차량 보유대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카셰어링 비즈니스가 비교적 발달된 미국 도시의 사례분석을 통해, 카셰어링 업체의 성장이 도시 인구의 차량 보유 대수 감소에 실제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분석 대상으로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는 다수의 미국 도시를 선정하고 차량 수요 감소에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되는 인자를 파악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미국 8개 도시를 선택하였다. 그 후 해당 도시별 차량 보유 대수 증감 현황과 차량 감소에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되는 인자들을 조사하여 정리하였다. 병행하여, 공유경제와 차량 공유경제의 선행연구, 그리고 미국과 한국 두 나라의 카셰어링 비즈니스와 관련된 선행연구, 전문기관의 분석 자료, 문헌 및 인터넷상의 보도자료를 분석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미국과 한국의 차량 공유경제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 지를 비교 분석하고 우리나라 자동차 공유경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Ⅰ. 서 론
Ⅱ. 본론
Ⅲ.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