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혁명시대, 한류와 블록체인의 융합 전략
Convergence of KoreanWave and BlockChain to Lea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미래학회
- 미래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 2018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 2018.11
- 227 - 234 (8 pages)
한류 콘텐츠는 워너원, 방탄소년단, 트와이스, 블랙핑크, 레드벨벳 등으로 대표되는 KPOP, 태양의 후예, SBS런닝맨 등으로 대표되는 K-Drama, 최첨단 성형 기술을 앞세운 의료관광 K-Medical, 문화관광 K-Tour, 화장품을 비롯해 패션 뷰티를 아우르는 K-Beauty, AR/VR/3D 등의 ICT 기술을 앞세운 K-ICT, 한국음식이 중심이 된 K-Food 등을 모두 포함한다. 한류 열풍은 소규모 비즈니스였던 엔터테인먼트 업의 위상을 큰 산업의 단계로 키웠고, 한류 영역의 생태계가 몰라보게 다양해지고 깊어졌다. 미국, 일본, 중국 등에 수출하고, 외국인 관광객 1,700만명 시대를 앞두고 있고, 콘텐츠 산업 110조원 시장 규모 시대를 열었다. 한류가 지속 가능할까? 이 질문에 답을 하기 위해서 반드시 해야할 일이 있다. 바로 4차산업혁명 시대를 이끌어가는 핵심인 블록체인(Blockchain)과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을 혁신 수단으로 삼아야 한다. 한류 지속의 비전은 혼자하거나 특정한 기업이 만들어낼 수 없다.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생태계와 블록체인 생태계가 서로 화학적 결합이 되어야 가능한 일이다. 지금은 한류 문화 콘텐츠 사업을 CT(문화 예술 기술, Culture Technology)과 융합해야 하며, 무엇보다 중개자 없는 신뢰의 기술이라 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해야 한다. 한류와 블록체인의 융합으로 지속 가능한 한류 콘텐츠가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 논문에서 나는 전세계의 한류 팬을 대상으로 한류시민권이라는 디지털 가상 커뮤니티를 구상하고 제안하고자 한다. ‘한류시민권 블록체인’에서는 콘텐츠 및 재화의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접 거래를 한다. 거래가 투명하고 공정하게 이루어지고, 투자를 통한 이익 분배가 동시에 이루어진다. 우버 같은 중개자가 필요치 않는 공유 경제 플랫폼이다.
Ⅰ. 서론: 연구 목적 및 문제점
Ⅱ. 본론: 연구 내용
Ⅲ. 결론: 한류와 블록체인 융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