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기술 연구사업관리전문가 집단의 미래역량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turity Model of Industrial R&D Program Director Group Foresight
- 미래학회
- 미래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 2018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 2018.11
- 157 - 162 (6 pages)
아직 현실화되지 않은 미래를 체계적으로 내다볼 수 있는 역량은 무엇인가? 그러한 미래역량은 측정이 가능한가? 만약 한 조직이나 개인이 처한 환경이 변화하면 요구되는 미래역량도 달라지는데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한 조직 고유의 상황에 따라 가지고 있어야 할 미래역량이 다르고, 바라는 미래에 대한 목표 수준을 설정하면 미래역량은 성숙도 수준으로 측정할 수 있다는 가설을 수립하였다. 이 과정에서 르네 로벡(R. Rohrbeck)의 조직의 미래예측 성숙도 모델(Maturity Model of Corporate Foresight)를 차용하였고, 이를 국가 산업기술개발사업 기획 분야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연구사업관리전문가(Program Director, 이하 PD) 집단의 미래역량 측정 모델에 적합하도록 재정의 하고 유용성을 검증함으로써 PD 집단의 미래역량 측정 모델의 개발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미래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정책 및 전략과 연계될 때 현재 발생하고 있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여러 문제들에 대해 다양한 정책적 옵션이 창출될 수 있도록 정책적 신축성을 가져다주기 때문이다. 국가 연구개발사업 정책과 전략의 핵심에 있는 PD 집단의 경우 미래 환경변화에 대해 더욱 높은 수준의 대응 능력이 요구되고 그에 상응하는 미래역량이 정부 연구개발 성공의 핵심 동인이 될 수 있음을 깊이 인식하고자 하였다.
Ⅰ. 서론: 연구 질문
Ⅱ. 본론: 연구 내용
Ⅲ.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