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단어 구조와 통사 구조를 합리적으로 기술하려면 형태소와 함께 구성소와 형성소를 세워야 한다. 그리고 복합문의 형성에 있어서는 형성소 연쇄체를 세워야 한다. 구성소는 단어 형성이나 문장 형성에서 비생산적이요 불규칙적이지만 형성소는 생산적이요 규칙적이다. 이를테면 격 어미나 활용 어미는 문장 형성소의 기능을 띠고 있다. 그러나 양자의 문장 형성의 기능이 같지 않다. 격 어미는 명사적 후치사와 함께 명사구에만 미치는 국지적 기능만 파악된다. 그러나 활용 어미는 동사구를 벗어나서 문장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전국적 기능을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활용 어미가 붙으면 절을 구성하기도 하나 단문이나 복합문(주절, 대등절, 종속절)은 절에 상당하는 형성소 연쇄체에 의하여 형성된다.
Any rational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Korean words and syntax must set up not only morphemes but formatives and constitutives as sub-units of morphemes. Moreover, the description of complex sentences requires the setting up of strings of formatives. Constitutives are neither productive nor irregular in forming words and sentences, but formatives are both productive and regular. For example, nominal case markers and verbal endings function as sentence formatives; however, the sentence-forming functions of both categories are not same. Like nominal postpositions, nominal case markers have a local function that extends only to noun phrases, whereas verbal endings have a global reach that extends beyond verb phrases to entire sentences. Generally speaking, if verbal endings are used, they usually also constitute clauses, but simple and complex sentences(main, coordinate and subordinate) are formed from strings of formatives equivalent to clauses.
1. 들어가기
2, 우리말 문법 단위의 문제점
3. 격 어미와 형성소
4. 활용 어미와 형성소
5. 휘 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