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5191.jpg
KCI등재 학술저널

소위 이중 주어 구문에 관한 통사론적 분석

A syntactic analysis of so-called double-subject construction, Morphology

  • 1,434

본고는 소위 이중 주어 구문에 관한 통사론적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소위 이중 주어 구문을 구문 유형에 따라 몇 가지로 나눈 후 각 유형별로 주어 판별을 위한 기준을 적용하여 주어 여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몇 가지 기준을 설정하였는데 첫째, 서술어의 논항 구조를 최우선 기준으로 하였으며, 둘째, 문장 성분 분석시 담화 층위 요소인 주제어 개념의 도입을 최소화하고 통사 층위의 문장 성분 개념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셋째, 논항 구조의 모호함으로 인하여 판별이 어려운 경우, 주어와 서술어 간 문법 관계를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편으로 관계화시 나타나는 비대칭성을 검증 기제로 삼았다. 결론적으로 관계화시 관계절 내서술어와 다른 성분 간에 보이는 문법 관계를 기준으로 주어 여부를 판별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하였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syntactically about so-called double-subject construction. After dividing the double-subject construction into several categories according to the semantic relationship,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subject were applied to each type to confirm the subject.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subject are as follows. First, the argument structure of the predicate was given the highest priority as for determining the subject. Second, I tried to minimize the application of the topic construction, which is a discourse component, and to explain the syntactic composition of the syntactic level. Third, when the discrimination is difficult due to the ambiguity of the argument structure, the asymmetr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yntactic compostions in relativization is used as a verification mechanism as a means of directly confirming the grammatical rela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predicate. In this paper, I tried to use the grammatical relation between the predicate and other component in the relative clause as a criterion to judge whether or not it is subject.

2. 연구 대상 및 연구사 검토, 연구 대상의 선별

3. 통사론적 특성에 의한 주어 검증

4. 마무리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