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일한 대상을 개념화하고 언어화하는 과정에 한국어와 한국수어는 서로 얼마나 유사하게, 또 얼마나 다른 방식으로 표현될 것인가? 이 글은 ‘대상의 개념화’와 ‘개념의 언어화’ 과정을 토대로 한국수어 음식 명사의 단어 형성 양상을 검토하며 그 물음의 답을 찾고자 하였다. 크게 다음의 세 가지 사항을 다루었다. 첫째, 한국수어는 단어 형성 과정에 구성성분 내 일부 형태소를 생략하는 방식으로 단어를 만들기도 하며, 한국어와는 다른 개념적 범주화를 보이기도 한다. 둘째, 한국어에서 드러나지 않은 방식의 구성성분 계열관계를 통해 한국수어 고유의 단어족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밥, 술, 국수, 가루, 빵’ 어휘장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한국수어의 단어 형성 방식이 확인된다. 한국어와 한국수어의 비교 관찰을 통해 보다 일반화된 차원에서 단어 형성을 연구할 수 있다.
How similar or different are Korean and Korean Sign Language(KSL) when an object is conceptualized and verbaliz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the answer of this question by examining word formation of food nouns in KSL. We discussed three issues as follows. Firstly, some morpheme that compose a word can be omitted when complex words are formed in KSL, and there is some different conceptual categorization between Korean and KSL. Secondly, own word families of KSL were revealed through paradigmatic relations which we can not find in Korean. Thirdly, we discovered common word formation methods in KSL lexical fields of rice, liquor, noodle, powder, bread. We can make a generalization of word formation principle by observing Korean and KSL together.
1. 머리말
2. 수어의 개념화와 언어화
3. 한국수어 음식 명사의 단어형성적 특징
4.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