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와사키(2017)은 두 가지 주장을 하였다. 첫째, ‘-돗-’과 그 뒤에 ‘-오-’가 오지 않는 ‘-옷-’은 감동법을 표시하는 요소이고 ‘-ㅅ-’과 그 뒤에 ‘-오-’가 오는 ‘-옷-’ 은 복수 표지이다. 둘째, ‘-돗-, -옷-’이 나타내는 감동법은 mirativity라는 문법 범주를 표시하며 mirativity 개념을 가장 적절히 표현하는 용어는 ‘깨달음’이다. 이 책은 자료를 충분히 제시하고 철저히 검토하여서 ‘-돗-, -옷-, -ㅅ-’이 쓰인 자료집이라는 성격만으로도 의의가 있으며 두 가지 핵심 주장은 독창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책은 두 가지 주장을 펼치는 과정에서 연구자들이 경계해야 하는 두 가지 함정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첫 번째 함정은 상관성을 인과성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자료를 통해 ‘-ㅅ-’과 어떤 조건하의 ‘-옷-’이 서술어에 쓰일 때 그 주어가 복수임을 발견했다고 해서 이것이 ‘-ㅅ-’과 어떤 조건하의 ‘-옷-’이 복수 표지임을 보증하지는 않는다. 전자는 상관성의 문제이나 후자는 인과성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두 번째 함정은 유명한 학자의 주장을 비판 없이 수용하고 개념을 정의할 때 엄밀한 태도를 유지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 책은 mirativity 개념이 문법 범주로서의 지위가 의심스러운데도 이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였고, 또 mirativity를 ‘깨달음’과 동일시하여 mirativity 개념의 왜곡을 초래하였다.
Kawasaki(2017) made two kinds of claims. First, prefinal endings ‘-tos-’ and ‘-os-’ without the following ‘-o-’ are exclamative elements. Prefinal endings ‘-s-’ and ‘-os-’ with the following ‘-o-’ are plural markers. Second, the exclamative category which ‘-tos-, -os-’ represent is the same as the grammatical category of mirativity. And the mirativity was claimed to be best translated as Korean word ‘kkaytalum’. Two claims made in Kawasaki(2017) are new and deserve academic attentions. However, Kawasaki(2017) fell into snares which all researchers should beware of while making its two claims. First, Kawasaki(2017) treated facts of correlation as facts of causation. The fact that ‘-s-’ and ‘-os-’ occur only when the subjects are plural is one thing, and the claim that ‘-s-’ and ‘-os-’ are plural markers is another. The second snare which Kawasaki(2017) fell into is that it uncritically accepted the famous scholar’s theory and without foundations equated the category of mirativity with ‘kkaytalum’ only to make distortions in that concept.
1. 서론
2. 상관성과 인과성
3. 개념의 정의와 적용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