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의 흡입력을 결정하는 것은 매체의 기술 수준이 아니라 그것에 담기는 이야기이다. 콘텐츠의 이야기가 서사력을 갖추면 향유자의 공감을 얻을 수 있다. 콘텐츠의 이야기는 표층서사와 심층서사로 구성된다. 그중 이야기의 서사력을 결정하는 것은 심층서사이다. 심층서사는 대체로 인간의 관계와 존재에 대한 질문을 다룬다. 이 글은 고전서사의 공간 특징과 심층서사를 중심으로, 현대 콘텐츠의 기획과 교육의 방향에 대해 검토했다. 고전서사의 공간은 ‘시공-경계공간’이라는 특징을 지닌다. ‘시공-경계공간’에서 인물은 경계적 인물을 만나 대화와 경청의 방식으로 서로의 내적 결핍을 응시하고 취약성에 공명하며 서사적으로 연대하는 관계를 맺는다. 이러한 과정에서 향유자 또한 자기의 결핍을 발견하고 공감을 느끼며 그 결핍이 이해받고 위로받는 공명과 연대에 참여하게 된다. 향유자는 심층서사와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며, 향유자는 고양된 공감 속에서 자기 삶의 서사를 재구성할 힘을 갖게 된다. 향후 고전서사는 콘텐츠의 심층서사와 향유자의 내면이 상호작용할 수 있는 방안 모색에 기여해야할 것이다.
It is not the skill level of the medium that determines the power of the contents, but the story inside. If the story of the contents is strong enough, the empathy of the enjoyer can be obtained. The story of the content consists of the surface narrative and the in-depth narrative. Among them, it is the in-depth narrative that decides the power of the story. In-depth narratives usually deal with questions about human relationships and existence. This article examines the direction of planning and education of contents, focusing on the spatial features and in-depth narratives of classical novels. The space of classical novel is characterized by Boundary space of time and space. In the bounding space, the characters meet, talk, listen to each other, gaze at each other s deficiencies, resonate with it, and cooperate in a narrative manner. In this process, the enjoyers also find their own lack, empathize with it, and understand and receive it. They constantly interacts with the in-depth narrative, and have the power to reconstruct the narrative of his life in elevated empathy. In the future, classical novels should contribute to the ways in which the in-depth narrative of the contents and the inner side of the enjoyers can interact with each other.
1. 시작하며-콘텐츠의 이야기와 서사력
2. 콘텐츠의 서사 층위: 표층서사와 심층서사
3. 고전서사의 공간 특성과 심층서사의 성격 : ‘시공-경계공간’과 결핍의 응시
4. 공간 콘텐츠의 기획과 교육의 방향 : 취약성에의 공명과 서사적 연대의 기획
5. 마치며-고전을 활용한 콘텐츠 기획 교육의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