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5221.jpg
KCI등재 학술저널

구비문학을 활용한 지역문화콘텐츠 개발과 현대적 전승 양상

Developing Local Cultural Contents based on Korean Oral Literature -The Case of Dokkaebi Tales

  • 1,025

전남 곡성군의 ‘섬진강도깨비마을’과 경남 의령군의 ‘한우산 철쭉설화원’은 도깨비 이야기 및 캐릭터를 활용하여 도깨비숲길을 조성하였고, 현재도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이에 스토리텔링의 양상과 실제 운영 현황을 점검하고, 지역 소재 설화를 활용한 지역문화콘텐츠개발 및 구비문학의 현대적 전승 방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섬진강도깨비마을은 도깨비와 동심을 테마로 하는 사업단체이다. 호곡도깨비전 시관에서는 공연과 전시를 하고, 외부 자연공간에서는 예술공원과 숲체험 활동을 운영한다. 십여 년간 자체 사업을 비롯하여 정부기관 및 지자체 사업에서도 꾸준히 많은 성과를 내며 자리를 잡아온 지역의 유명 민간사업체이다. 곡성의 <마천목 장군과 도깨비살> 전설과 섬진강의 도깨비살(독살)은 인형극 공연과 도깨비숲길 체험 내용에 활용되었다. 여기에서 나아가 전시공간에서는 한국 전반의 전통적 도깨비 문화에까지 자료적 범위가 확대되어 있다. 게다가 섬진강도깨비마을은 유아 숲체험원 1호로 지정받았는데, 익살스럽고 장난 많은 도깨비 이미지를 테마로 지역의 자연적 특장을 잘 살려 어린이 숲체험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있다는 점도 높이 평가할 수 있다. 한우산은 경남 의령군의 큰 산인데, 2016년 의령군은 산철쭉 군락지를 조성하 면서 주변 도보 숲길을 조성하고 도깨비 이야기와 관련된 조형물을 설치하여 철쭉 설화원이라 명명하였다. 이때 의령의 지역 특색인 한우산과 응봉산, 철쭉꽃, 홍의 송(소나무), 강한 바람, 망개떡 등에 기존의 도깨비 이야기를 섞어 재창작 하였다. 그리고 캐릭터 조형물을 설치하여 숲길 스토리텔링의 내실과 체험 관광의 면모를 갖추었다. 한편 밝혀지지 않은 스토리텔링의 원전 자료를 탐색한 결과 많은 유사 성과 관련성을 가지는 경남 하동군의 금오산 전설이 가장 원전에 가까웠다. 이렇듯 자료 검토 부족으로 타 지역의 도깨비 전설을 차용하게 되고, 또 원전을 밝히지 못한 점은 유감은 남긴다. 특히 지역의 자연·역사·문화·의식의 특성이 드러나는 지역전설은 지역민의 자기정체성의 성장 및 고양과 긴밀한 관련을 가지므로 신중히 접근하고 선택할 필요가 있다. 한편 웹사이트, 블로그, SNS 등 온라인 상에 게시된 관련 글을 추적한 결과 위두 곳은 최근 들어 더욱 많이 이용되며, 많은 관심을 받고 있었다. 이로써 설화를 활용한 지역문화콘텐츠 운영의 지속가능성을 확인한 것은 물론이며, 곡성과 의령의 대표적인 지역문화콘텐츠로 자리함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지금은 새로운 구술 문화라 할 수 있는 영상콘텐츠가 유튜브와 같은 온라인 공유플랫폼을 통해 파생· 향유되는 시대이다. 이렇듯 자료의 아카이빙과 공유 서비스, 홍보에서 나아가 스토 리텔링 개발까지 소비 매체의 변화를 유념하여 구비문학의 현대적, 그리고 미래적 전승 방안을 고민해야 할 때이다.

In the ‘Dokkaebi village in Seomjin river’ of Gokseong-gun, Jeollanamdo and the ‘royal azalea Seolhwawon in Mt. Hanwoo’ of Uiryeong-gun, Gyeongsangnam-do, Dokkaebi forest trails were built by using the Dokkaebi folk tale and character, and it is now on operation actively. Therefore, the aspect of storytelling and actual operation status were examined and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al contents and modern transmission direction of oral literature using local folk tales were examined. The goblin village in Seomjin river is the business community based on the theme of Dokkaebi and childlike innocence. The Hogok Dokkaebi exhibition hall is for the performances and exhibitions, and the art parks and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are run in the outside nature space. It is famous local private business that has steadily achieved a lot of performances in its own projects as well as government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 projects for about ten years. The legend of <the general Ma Cheonmok and Dokkaebi’s sal> in Gokseong and the Dokkaebi’s sal of Seomjin river were utilized in the puppet show and Dokkaebi forest trails experience program. Moreover, the scope of the data is extended to the traditional Dokkaebi culture in the exhibition space. Besides, the goblin village in Seomjin river was designated as the first forest experience centers for little children, it can be also highly appreciated that composing of forest experience program for children by making good use of naturalistic characteristic based on the waggish and mischievous Dokkaebi image as a theme. Mt. Hanwoo is a big mountain in Uiryeong-gun, Gyeongsangnam-do,in 2016, the Korean azalea habitat was built up with the nearby walking forest trails in Uiryeong-gun and the sculpture related to the Dokkaebi folk tale was installed and named as royal azalea Seolhwawon. At this time, the existing Dokkaebi folk tale was recreated by mixing with Mt. Hanwoo, Mt. Eungbong, royal azalea, Hongeuisong (pine tree), strong wind and Manggae-tteok etc. a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Uiryeong. In addition, the character sculpture was installed for preparing the internal stability of forest trails storytelling and experience tour. Meanwhile, in the result of searching the material of original text of unknown storytelling, the legend of Mt. Geumoh in Hadong-gun, Gyeongsangnam-do having many similarities and relevance was most similar with the original text. So, it is regrettable that the legends of Dokkaebi from other regions was derived and the original text was not revealed due to lack of material review. Especially, the local legends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nature, history, culture, consciousness are closely related to the growth and enhancement of self-identity of local residents, so it is needed to approach and choose carefully. In addition, tracking the related articles posted on the web site, blog, SNS, etc., both of these site have been used more and have received more attention recently. Hereby, the sustainability of the operation of local cultural contents using tale was confirmed and it shows that it is representative local cultural contents of Gokseong and Uiryeong. Now is the time when the video content that can be called a new oral culture is derived and enjoyed through the online platform such as YouTube. Thus, it is the time to consider the modern and futuristic transmission method of oral literature by having regard to the changes of the consumer media such as the archiving of materials and shared services, promotion and further development of storytelling.

1. 서론

2. 지역의 도깨비 전설을 활용한 곡성 섬진강도깨비마을

3. 타 지역 철쭉꽃 전설을 개작한 의령 한우산 철쭉설화원

4. 설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지역문화콘텐츠의 OSMU(One Source Multi Use) 현황

5. 온라인을 통한 콘텐츠 구전 효과 및 설화의 미래적 전승 양상

6.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