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5273.jpg
KCI등재 학술저널

시각적 단서 제시 여부에 따른 동영상 유형이 학습 만족도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ideo Types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ccordance with Visual Cue Presentation

  • 586

동영상 강의는 최근 몇 년 동안 공공기관, 교육 시설, 그리고 Coursera, 칸아카데미, TED와 같은 오픈 학습 콘텐츠에서의 활용이 증명되면서 온라인 강의의 매우 일반적인 형태가 되었다. 강의 유형에 따른 학습자 선호도 및 학습 성과와 관련된 연구들은 주로 동영상 유형을 하나의 이러닝 콘텐츠 유형으로 포함시켜 진행되어 왔으며 어떤 강의 유형이 가장 학습자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 결과는 연구마다 조금씩 다르게 제시되고 있다. 이 연구는 동영상 유형을 사회적 단서 중 시각적 단서에 초점을 두고 3가지로 구분하여 강의 유형과 연령 및 교과에 따라 학습 만족도 및 학업 성취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 방송통신고등학교에 재학중인 1학년 180명을 실험 참가자로 선정하였으며 실험 참가자들은 여섯 가지 유형의 동영상 콘텐츠에 무작위로 배정되었다. 실험처치 하기 전에 학습 내용에 대한 사전지식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 후에는 만족도 검사와 성취도 검사를 진행하였다. 동영상 강의 유형과 연령 및 교과에 따라 학습 만족도와 학업 성취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보기 위해 삼원변량분석(thre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동영상 강의 유형에 따라 학습 만족도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연령과 동영상 강의 유형간의 상호작용 효과, 교과와 동영상 강의 유형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학습 만족도 측면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학업 성취도 측면에서 동영상 강의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교 과와 동영상 유형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학업 성취도 측면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반면 연령과 동영상 강의 유형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학업 성취도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동영상 학습 콘텐츠를 설계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안들을 제안하였고, 동영상 강의 형태에서 시각적 단서를 교과, 학습 대상자 상황에 따라 활용해야 함에 대해 논의하였다.

1)Video lectures have become a very common form of online lectures in recent years and have proven their use in open educational resources. Studies related to learner preference and learning outcome according to lecture types have been mainly conducted including video as one type of elearning conten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which types of lectures positively affect learner outcomes are presented slightly differently in each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lecture type, age, and subject, focusing on visual cue presentation. For this study, 180 students in the first grade at Open Secondary school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participants and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six groups of video contents. Threeway ANOVA was performed to see if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video lecture type, age and subject.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pending on the type of video lecture, age and subject.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on satisfaction between age and subject, age and type of lecture, and subject and type of lecture.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on achievement between subject and lecture typ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 proposed some issues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video learning contents and discussed how to use visual cues in the form of lectures.

Ⅰ. 서 론

Ⅱ.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