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1885년 중국에서 발행된 성신지장과 1908년 한국에서 번역된 리학초권을 대상으로 근대 학술어의 생성 및 변화 과정을 살피는데 목표를 두었다. 근대 동아시아 국가에서는 서구 지식과 제도의 번역 필요성에 따라 다수의 번역 서양서가 등장했는데, 그 중 한 분야가 생리학 분야이다. 이 분야의 지식이 활발히 번역된 데는 서양 전교사들의 전교 활동과 의학 및 생리학 지식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헨리 포터(博恒理)의 성신지장과 애니 베어드 번역 리학초권이 번역된 요인 및 번역 학술어 사용 양상을 기술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근대 동아시아 국가에서 성신지장이나 리학초권과 같은 생리위생 서적을 번역한 까닭은 이 분야의 지식이 병을 치료하는 사람이나 병에 걸린 사람, 또는 예방 차원에서 이 지식이 필요할 뿐 아니라 이러한 지식이 신의 섭리와 무관하지 않음을 강조하고자 하는 데 있었다. 이는 성신지장의 각종서문과 리학초권의 서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성신지장의 번역 학술어 사용 양상은 원의(原義)를 충분히 밝힐 수 있도록 중국 한자를 선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조어를 하고자 한 점이 특징이다. 따라서 특정 학술어로 굳어지기 이전의 구 구조 표현이 비교적 많고, 서양어의 음을 차용한 표기가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이는 역서 과정에서 학술어 사용의 혼란을 유발할 수 있는데, 역서사략의 ‘역서지법(譯書之法)’이나 양계초의 ‘논역서(論譯書)’ 등과 같이 번역 방법에 관한 논의가 나타난 것도 이러한 현상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이에 비해 리학초권의 색인어는 고유어와 한자를 병기한 표현이 다수 등장하며, 이러한 단어들도 합성어를 이룰 때는 한자어를 기반으로 하는 점이 특징이다. 이 점에서 어휘 계통별로 볼 때 한자어를 기반으로 한 학술어가 절대 다수를 이룬다. 그럼에도 고유어 학술어와 외래어를 음차한 학술어가 중국에서 발행된 책보다 상대적으로 많으며, 어휘화 이전의 구 구조 표현도 다수 등장한다. 두 교재에 나타난 193개의 중출 학술어를 비교할 경우, 일상어에서 전용된 전문 용어 가운데 같은 한자를 사용한 경우나 같은 한자를 포함한 합성어가 다수 나타나며, 70여 개의 학술어는 전혀 다른 한자를 사용하고 있음도 확인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generation and change of translated technical terms in East Asian countries(Korea, China and Japan) during the early modern time period. I focused on the SEONGSHINJIJANG(省身指掌, the Elementary Physiology –A textbook for Schools, written by Henry D. Porter, M.D. (博恒理) in 1885) and the SAENGRIHAKCHOGWUEON(生理學初卷, The human body and its health translated by Annie Baird in 1908). The former published in China and the latter published in Korea. There were physiology books in common. I compared with two textbook’s index. The former involved a lot of technical terms that translated a proper sense. A large number of technical terms were phrase structure of the before the step of lexicon that means lexicalization. The latter appeared native terms which marked with the Chinese characters. The Chinese technical terms in this book appeared absolutely a lot. But this book appeared a lot of terms that borrows from sound.
1. 서론
2. 『성신지장』의 번역 요인과 학술어 사용 양상
3. 『리 학 초권』의 번역 요인과 학술어 사용 양상
4. 중출 번역 학술어 비교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