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Status and Tasks of the Korean Living Labs as Field & Citizen-driven Innovation Activities
현장과 주민이 함께 하는 혁신활동으로서의 국내 리빙랩 현황과 과제
- 적정기술학회
- 적정기술학회지
- Vol.4 No.2
-
2018.1179 - 87 (9 pages)
- 117

최근 사용자 참여와 현장지향성을 강조하는 리빙랩이 변화를 이끌어내는 개념으로 등장하고 있다. 리빙랩은 ‘살아있는 실험실’이라는 뜻으로, 특정지역의 생활공간을 설정하여 공공-민간-시민 간의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이자 방식이다. 한국에서도 중앙정부 주도의 하향적 정책추진, 기술 공급자 중심의 연구개발, 대기업과 경제성장 중심의 산업혁신이 가지는 한계를 넘어 새로운 혁신 및 문제 해결의 수단으로서 리빙랩 활동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리빙랩 현황을 추진 주체인 중앙정부, 중간지원조직, 대학, 주민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사례를 분석하고 정책 과제를 제시하였다. 아직 초기단계에 머물고 있는 리빙랩이 사회의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중앙정부 및 지자체의 일하는 방식의 변화, 플랫폼 구축에 대한 전망, 공익성을 지닌 똑똑한 최종 사용자의 조직화 등이 중요한 과제이다.
The main task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and evaluat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domestic living lab currently being promoted and to draw up policy issues to be solved in the future. Living Lab is still in the policy experiment stage in Korea. Considering this,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ies of expanding the living lab as a means and a way to derive the success model through sharing experience and achievement of living lab and to innovate R&D project, regional innovation and social innovation project. We would like to suggest a way to refine the concept and methodology of living lab that is suitable for the Korean situation and to improve and develop in the mid to long term.
서론
리빙랩의 개념과 추진 현황
국내 리빙랩의 주요 사례 분석
향후 과제
사사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