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Since the 1990s, Korea has been rapidly moving toward a multi-cultural society. Then the Korean society has been taking much interest in multi-culturalism and multi-cultural society which reflects an dramatic increase in migrant workers, immigrant wives, and multi-ethnic families and children and the expansion of the ethnic and cultural diversity in Korea. In this context, this study reviews the existing state of foreign residents and the current realities of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ystem and the administration supporting system of the multi-culturalism policies in Korea. And this paper also examines a general outline of social enterprise and the several cases of social enterprise for immigrant wives and multi-ethnic families which is a group of vulnerable members of society in the light of policy target of social enterprise and multi-culturalism.
목차
Ⅰ. 서 론
II. 이론적·정책적 논의
Ⅲ. 한국의 다문화 실태와 정책 현황
Ⅳ. 사회적기업을 통한 다문화지원 정책
Ⅴ. 결론: 연구의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2)
- 우리나라 사회적기업 육성정책의 특성과 방향
- Linking the Regional Demographic Processes and the Small Area Housing Growth:
- 지방자치단체 자활사업 만족도 연구
- 학교교육 바우처 운영과정에서 관리주체들의 역할 분석
- 시민사회 갈등인식과 정부신뢰:
- 지방의회의 입법기능 실태 분석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8권 제1호 목 차
- 한국의 다문화 실태 및 다문화지원 사회적기업 고찰
- 공공임대주택 입주자의 주거만족도 연구
- 지역과학기술정책에 관한 연구동향 메타분석
- 지방자치단체의 농촌체험마을에 대한 도농교류 활성화방안 연구
- 포천시 중소기업 진흥정책의 현황과 발전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