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대표적인 비영리기관인 복지관 이용노인들에 대한 생활만족도, 관계결속도, 사회활동참여도의 독립변수와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망의 종속변수와의 영향관계를 연구하는데 있다. 또한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망을 가족관계, 친구관계, 공식적관계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보다 종합적인 차원의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망형성 방안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199명의 노인복지관 노인들을 대상으로 2017년 5월~6월동안 조사한 응답결과에 대해 회귀분석방법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의 생활만족도 및 관계결속도, 사회활동참여도는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망형성에 있어 정적인 영향관계를 나타내었다. 종속변수 하위요소들과의 관계에서, 생활만족도 및 관계결속도, 사회활동참여도는 가족관계에 정적인 영향관계를 보였고, 친구관계에서도 정적인 영향관계를 보였다. 하지만, 생활만족도 및 관계결속도는 공식적 관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사회활동참여도와 연령이 정적인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 비영리현장에서 노인의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망 형성할 수 있는 실천적 프로그램 개발과 제도적 노력 및 건전한 노인의 사회관계 형성을 위한 다양한 노인복지적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atisfaction of life, relationship Cohesion,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nd other relevant factors which might affect the social networks of the aged in an integrated way. The social networks of the aged was classified into family, friends, official persons as to acquire precise understanding and find practical implication for making social networks. To achieve this goal, 200 of the aged in four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City areas were surveyed for 2 months (May.-Jun. 2017) and 199 of their answers were analyzed based on regression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appeared that satisfaction of life(+), relationship Cohesion(+),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had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social networks of the aged. In detail, satisfaction of life(+), relationship Cohesion(+),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magnificently influenced on the family networks and the friends networks. Satisfaction of life and relationship Cohesion did not have influenced on the official persons networks, but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nd age(+) had magnificently influenced on the official persons networks. On a basis of these results, the ways to guide and assist the aged in order to making the social networks which will increase their satisfaction of life, relationship Cohesion,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