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자원봉사센터에 근무하는 교육코디네이터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요인과 조직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부산, 울산, 대구, 대전, 인천, 광주지역 소재 자원봉사센터 전체 105개 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가운데 교육코디네이터가 응답한 85부를 최종 자료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 수준에 있어서는 근무연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요인에서는 성별, 연령, 근무연한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요인에서는 근무연한에 따라 임금수준의 적절성 수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별, 연령, 근무연한에 따라 승진절차의 공정성 수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코디네이터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직무요인으로는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이 확인되었다. 셋째, 코디네이터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조직요인으로는 임금수준의 적절성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교육코디네이터의 이직을 예방하기 위한 구체적인 개입방법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job and organizational factors affect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educational coordinators working at the volunteer cente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purposive sampling. I conducted a mail survey from April 26, 2016, to June 30, 2016, for the educational coordinators working at 105 volunteer centers in Seoul, Gyeonggi, Busan, Ulsan, Daegu, Daejeon, Incheon and Gwangju. The final analysis used data onto a total of 85 respondents that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 statistical package SPSS WIN 18.0, and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re was only the working year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turnover intention. And in organizational factors, there was gender, age, working year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job stress. In job factors, there was only the working year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adequacy of wage. In addition, there was gender, age, working year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fairness of the promotion process. Second, job factors affect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education coordinator were identified job str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organizational factors affect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education coordinator were identified adequacy of wage.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pecific intervention plans were proposed to prevent the turnover of the educational coordinators.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