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5494.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장년 근로자의 직무열의에 대한 과소직무요구, 직무자율성, 나이차별인식의 상호작용 효과

  • 232

본 연구는 한국사회가 고령사회가 되면서 중장년 근로자가 직면한 근로환경이 변화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중장년 근로자의 직무열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장년 근로자의 직무열의에 대한 선행변인으로서 직무의 질적 측면에서 역할이 축소된 측면으로 과소직무요구(deficiency of job demand)와, 직무자율성, 그리고 나이 때문에 승진, 교육, 평가 등에서 차별을 받는다고 지각하는 나이차별인식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직무요구-자원(job demand-resource) 모형에서 제시하는 상호작용 패턴에 입각하여, 본 연구에서는 중장년 근로자들이 직무요구가 과소한 상황과 지원적이지 못한 차별적 환경에서 상호작용 패턴은 다를 것으로 예측하고, 세 예측 변인들 간의 삼원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였다. 생산직과 사무직 등 다양한 직무에 종사하는 중장년 근로자 394명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직무열의에 대한 예측변인들의 주효과는 유의하였으며, 세 예측변인 간 유의한 삼원상호작용이 나타났다. 나이차별인식이 낮을수록 과소직무요구와 직무자율성의 상호작용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직무자율성이 높은 경우 직무요구가 적을수록(즉, 과소직무요구) 열의는 떨어진 반면, 직무자율성이 낮은 경우 직무요구가 과소하면 오히려 열의가 높아지는 패턴이 나타났다. 그러나 나이차별인식이 높은 경우에는 직무자율성만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work engagement of middle-aged workers by considering the phenomenon that the working environment of middle-aged workers is changing as Korean society becomes the aged society. In this study, the role of the deficiency of job demand, the job autonomy with which middle-aged workers have relatively more enjoyed than the younger generation, and perception of the age discrimination. Based on the interaction patterns suggested in the demand-control-support model, this study predicted the interaction patterns of middle-aged workers in underprivileged environments would be different, and tested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among the variables mentioned above. Data were collected from 394 middle-aged workers working in various jobs such as production and office work.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in effect of job demand on work engagement was not significant, while significant three-way interaction among three predictors existed. The lower the perception of age discrimination, the stronger interaction between job demands and job autonomy on work engagement was found; the less job demand, the less engaged, at the higher the job autonomy. On the other hand, at the lower job autonomy, the demand deficiency increased work engagement. However, when the age discrimination perception was high, only job autonomy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work engagement.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토의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