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5496.jpg
KCI등재 학술저널

제주지역 장애인관광과 수용태세에 대한 업종별 인식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differences of the Tourism for disabled people and Readiness State amongst types of tourism business in Jeju

  • 149

장애인관광에 대한 연구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따라 본 연구는 제주지역 장애인 관광 시장에 대한 전반적 인식과 장애인 관광객을 위한 수용태세에 대한 업종별 인식차이를 고찰 하고 제주지역 장애인 관광의 장애해소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 수행을 위해 제주지역 관광 관련 사업체 및 공공기관 16곳의 종사원 252명(유효 표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업종간 인식차이를 탐색하기 위해 요인분석(EFA), T-test, Anova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제주지역 장애인관광에 대한 인식은 업종간 차이를 보였다. 특히, 관광행정기관과 민간사 업체 간 인식차이가 두드러짐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공공부문이 주도하에 장애인관광과 장애인관광시장에 대한 민간업계의 인식개선을 위한 캠페인, 체험, 교육 등의 정책과 제도마련 필요성을 제기한다. 수용태세 인식의 경우 기업 수용태세와 종사자 수용태세에 대한 인식에서 업종간 차이를 보였으나, 대체적으로 장애인 관광객에 대한 인식이 매우 미흡하여 공급자 차원의 주도적 수용태세 향상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으로, 이 점에서도 공공부문의 선도적 노력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tourism for the disab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verall perception and the readiness to receive of tourism for the disabled people in Jeju and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isability of disabled tourists in Jeju area.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252 local respondents, working in tourism related business. Factor analysis, T-test, Anova analys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for perception of tourism for the disabled among industries. In particular, there is a marked difference in perceptions between tourism administration agencies and private businesses. This raises the necessity of policies and systems such as campaigns and educations for tourism for the disabled. In the case of readiness to receive the disabled tourist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employee and business. However, the perception of the disabled tourists is generally insufficient,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suppliers for disabled tourists in Jeju.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