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5490.jpg
KCI등재 학술저널

제1차 세계대전 군인들의 전쟁신경증 – 독일과 미국의 공포의 역사 비교 연구 -

War Neuroses in the First World War – A Comparative Study of German and American Fear -

  • 235

본고는 1차 대전 군인들의 전쟁신경증에 대한 독일과 미국의 정신의학자들 및 프로이트주의자들의 입장에서 당시의 감정규범을 읽어내려 했다. 이를 위하여 분석한 텍스트는 1916년 9월에 뮌헨에서 열린 전쟁학술대회 회의록, 1917년 여름 미국의 정신의학자 토머스 새먼 그룹이 제출한 보고서, 1918년 9월에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국제정신분석학회의 발표문 세 가지이 다. 독일 신경정신과 의사들은 공포를 인간을 본능적이고 부도덕한 존재로 만드는 부정적인 감정으로서, 억제되고 극복되고 삭제되어야 함은 물론, 말조차 꺼내면 안 되는 감정으로 간주했다. 새먼 보고서는 공포를 자아에게 닥쳐온 위험과 그로 인한 내면의 상황을 알려주는 신호이자 자아를 보호하는 장치로 간주했고, 닥쳐온 공포는 말해야 함은 물론 신뢰와 공감으로 극복해야할 감정으로 간주했다. 프로이트주의는 공포를 내외의 위협 속에서 고유한 삶을 만들어가는 자율적이고 주체적인 실존적 현존재의 감정으로 간주했다.

This article tries to read the German and American emotional norms in the texts, written about the war neuroses by the German and American psychiatrists as well as by the Freudian in the First World War. The author deciphers the stenographical protocols of the “War Conference” of the German psychiatrists in September 1916, the psychological reports about the war neuroses by Thomas W. Salmon and John MacCurdy in the summer of 1917, and the reports about the war neuroses by the Freudian scholars in September 1918 in Budapest. The article arrives at the following assessments. The German psychiatrists were of the opinion, that the fear was a unmoral and instinctive emotion, which was to escape and even not to utter. Their American counterparts were of the judgement, that the fear, a benevolent emotion, functioned to protect the jeopardized self from the threats of within and without. Freudian scholars concluded that the fear showed up always with the autonomic self, confronted with the id, the real world, and the superego.

Ⅰ. 머리말

Ⅱ. 1916년 전쟁학술대회

Ⅲ. 1917년 새먼 보고서

Ⅳ. 1918년 국제정신분석학대회

Ⅴ. 맺음말

로딩중